천년기는 431년 에베소 공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하나님의 도성 20권에서 무천년기를 주장한다. 그리고 431년 에베소 공회의에서 천년기에 대한 주장을 이단으로 정죄했다. 칼빈도 무천년론적 입장으로 그리스도의 나라가 영원한 천상의 왕국임을 강조했다. 칼빈은 재침례파의 현세적 천년왕국론을 비판했다. 종교개혁.. 형람서원 2014.08.04
[스크랩] [사설]양을 위한 목자를 찾습니다. [사설]양을 위한 목자를 찾습니다. 기사입력 2014-07-17 오후 4:05:00 | 최종수정 2014-07-17 오후 4:06:01 왜 고려는 망했고 조선은 건국했는가? 지도층이 부패하고 무능하니 판을 새로 짠 것인데, 새로운 판의 동력은 다시 민초들에게서 얻는다. 조선의 멸망도 마찬가지다. 세계의 모든 나라는 유사.. 형람서원 2014.07.17
맥추감사주일 맥추감사주일 맥추감사주일. 보리수확이 없는데 무슨 맥추감사주일... 1995년도에 서울 충현교회에 교사강습회에 참석한 적이 있다. 서울강남에서 맥추감사주일 안내판을 보았다. 서울 강남에서 보리를 추수했을까? 보리추수가 없는 서울에서 무슨 맥추감사를 드리나? 하는 생각이 들었.. 형람서원 2014.07.06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4) 朝鮮 耶蘇敎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4) 朝鮮 耶蘇敎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와 한국기독교장로회 조선에 개신교 선교사들은 동쪽으로 진입을 몇 번 시도했지만(귀츨라프,1832년, 토마스,1866년) 실패했고, 천주교(로마 교회)는 동쪽, 청나라에 볼모로 간 소현세자(1612-1645)와 서학(西學)에 대한 학문적 .. 형람서원 2014.05.17
4 덕 4 덕 플라톤(Platon)의 4덕, 지혜, 용기, 절제, 정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中庸)의 덕’으로 플라톤의 보편적인 가치가 아닌, 도달이 가능한 선, 실천가능한 선을 목표로 나아가는 자체를 덕으로 보았다. 용기가 과하면 만용이 되고, 절제가 과하면 인색이 되는 것으로 과유불급(過猶不及.. 형람서원 2014.05.10
[스크랩]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3)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3) 장로교 신학은 영국의 신학은 아니다. 17세기 영국은 기독교 박람회처럼 많은 사상이 등장했다. 많은 기독교 지류들이(국교회(성공회), 회중교회, 침례교, 감리교, 구세군 등) 영국에서 기원했다. 그래서 영국의 신학자들에 대해서 장로교와 동일한 개념으로 .. 형람서원 2014.05.10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2)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2) 장로교는 스코틀랜드의 존 낙스(John Knox, 1514년?~1572년)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이해한다. 낙스는 제네바에서 칼빈의 배려로 목회를 하며 바른 교회에 대해서 익혔다. 그리고 스코틀랜드로 귀환하여 칼빈과 제네바를 모범으로 스코틀랜드 교회를 체계화시켰.. 형람서원 2014.05.03
언어 탐구(1) 창주주 하나님과 언어 언어 탐구(1) 창주주 하나님과 언어 성경은 창조주 하나님께서 경계를 정하셨다고 한다. 창조에서는 바다와 육지, 산과 밭 등이고, 인류에서는 민족과 민족, 나라와 나라가 정해졌다. 경계는 매우 신기해서 경계선과 경계선 안과 밖이 있고, 또 변경될 수도 있다. 바다가 육지로 변하고, 산.. 형람서원 2014.04.26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1) [목회칼럼] 장로교의 이해(1) 장로교의 기원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칼빈에 의해서 시작되었다고 보는데, 이전의 배경과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있다. 칼빈은 교회 직분은 목사, 장로, 교사, 집사의 네 직분으로 제시한 것은 1541년에 제정한 [제네바교회규정]에서 나타난다.『기독.. 형람서원 2014.04.19
[목회칼럼] 장로교회는 보수적이고 편협한가? [목회칼럼] 장로교회는 보수적이고 편협한가? 한국 장로 교회는 대체적으로 보수적이라고 평가된다. ‘장로’라는 단어에서 보수적이라는 개념이 있는 것 같다. ‘보수(保守)’는 긍정적인 것보다는 ‘답답하다’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다. ‘보수’는 ‘기독교 근본교리’를 고수하.. 형람서원 2014.04.12
구속과 언약 구속과 언약 고경태 목사 신학(神學)이란, 자기의 믿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방법이다. 자기 믿음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른 신학도의 표현에 대해서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신학도는 독서를 해야 한다.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듯이(잠 27:17), 신학도인 우리의 신학을 날카롭게 해주.. 형람서원 2014.04.05
[목회칼럼] 장로 제도에 대한 성찰 [목회칼럼] 장로 제도에 대한 성찰 장로교회가 스위스 제네바,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지만 풍성한 결실은 한국에서 맺혔다. 미국 기독교는 침례교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데, 한국에 선교사를 많은 파송한 것은 남, 북장로교 선교회였다. 그리고 캐나다와 호주의 장로교 선교사도 입국하.. 형람서원 2014.04.05
[목회칼럼] 권징(勸懲)의 성실한 시행 [목회칼럼] 권징(勸懲)의 성실한 시행 한국교회에 권징이 없다고 한다. 권징(勸懲, Church Discipline)은 무엇인가? 벨직신앙고백서(1561년) 29항에서 교회 표지를 “복음의 순수한 설교”, “성례의 순수한 시행”, “죄를 교정하기 위한 권징의 시행”(배진원 편, 『개혁주의 신앙고백』,59)으로.. 형람서원 2014.03.22
카알 발트의『교회교의학 I/1』§1,§2. 요약 카알 발트의『교회교의학 I/1』§1,§2. 요약 교의학의 과제와 서설의 과제 고경태 목사 카알 발트는 “하나님의 자유”에 근거한 “유일신”론의 신학원리로, 모든 세대와 모든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신학체계를 구성하는 것에 있다. 카알 발트의 [교회교의학]은 “교의학, dogmatic”으로.. 형람서원 2014.03.17
[목회칼럼] 노회(老會, Presbytery) [목회칼럼] 노회(老會, Presbytery) 장로교는 총회(대회), 노회, 당회의 구조로 되어 있다. 한국 장로교회는 1907년에 독노회를 설립했고, 1912년에 총회를 설립했다. 독노회는 당시 대한제국 안에 있던 장로교회들의 총 연합체로 형성되었다. 노회가 모여서 총회로 형성하여 보편교회의 형태를 .. 형람서원 201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