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전 기독교 역사 14

종교개혁 이야기, 고경태 ...

종교개혁시대의 신학과 신앙- 종교개혁 이야기 -  목 차  1. 우리가 생각하는 종교개혁 진영이란2.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3. 종교개혁 대략4. 때가 찬 종교개혁5. 루터의 종교개혁6. 칼빈의 종교개혁7. 잉글랜드의 종교개혁8.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9. 재세례파와 신령주의(신비주의)10. 로마 카톨릭주의와 세르베투스주의(소시니안)11. 도르트 총회12. 웨스트민스터 총회※ 주일설교 ........................................................................................- 겨울사경회 둘째 날 : 열한 번째 시간 - 1강 우리가 생각하는 종교개혁 진영이란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예배당 전문에 95개조 반박..

임경근 목사의 고신과 네덜란드 교회 이야기

임경근 목사(다우리교회 담임)의 이근삼과 네덜란드 개혁교회한국 고신교회와 네덜란드 개혁교회와의 최초 접촉과 관계는 이근삼으로부터 시작된다. 이근삼은 1946년 고려신학교 1회 학생으로 입학한 1951년 5회 졸업생이다. 그는 박윤선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고 네덜란드 개혁신앙을 배운다.당시 고려신학교는 교수를 양성할 목적으로 5회 졸업 동기생 홍반식(구약학), 오병세(신약학), 이근삼(조직신학)을 미국으로 유학을 보낸다. 1953년 이근삼은 미국에서 5년 동안 고든대학(B.A), 훼이스 신학교, 카버넌트 신학교(Th.M),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변증학 1년)에서 개혁신학을 공부한다.여기서  그 후 박사학위 과정 공부를 위해 1958년 8월 네덜란드 자유대학으로 향한다. 암스테르담 자유대학은 일찍이 그의 스승 ..

J.M. Carroll의 챠트 분석

J.M. Carroll(1858-1931), Trail of Blood. (피흘린 발자취) James Milton Carroll (January 8, 1852 – January 10, 1931) was an American Baptist pastor, leader, historian, author, and educator.캐롤이 만든 교회사의 챠트는 많은 사람에게 설득을 준 것 같습니다(This very easy to read adjustable print-size edition of the "Trail of Blood" comes complete with Dr. Carroll's illustrated chart of Church History). 그러나 그의 챠트는 분석이 필요한 것이지, 챠트이기 때문..

321년 3월 7일 반포한 일요일 휴업령

콘스탄티누스가 321년 3월 7일 반포한 일요일 휴업령은 6세기에 편찬된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을 통해 전해진다. "모든 재판관과 시민 그리고 기술자들은 존엄한 태양의 날[Sunday]에 쉬어야 한다. 그러나 시골 사람들은 방해받지 않고 농사일을 할 수 있다. https://churchofgod.wiki/%EC%9D%BC%EC%9A%94%EC%9D%BC_%ED%9C%B4%EC%97%85%EB%A0%B9#:~:text=%EC%BD%98%EC%8A%A4%ED%83%84%ED%8B%B0%EB%88%84%EC%8A%A4%EA%B0%80%20321%EB%85%84%203,%EC%9C%A0%EC%8A%A4%ED%8B%B0%EB%8B%88%EC%95%84%EB%88%84%EC%8A%A4%20%EB%B2%95%EC%A..

1912년에 설립된 총회, 2024년 109회 총회....

대한예수교장로교회는 1907년에 독노회를 출범하며, 7인의 목사를 임직했다. 그리고 1912년에 총회를 구성했다.역사적인 제1회 예수교장로회 조선총회가 1912년 9월 1일 상오 10시 30분에 평양 경창문안여자성경학원에서 개회됐다. 총대는 한국인 목사 52명, 선교사 44명, 장로 125명 모두 221명이었고, 당시 교인 수는 12만 명에 달했다. 초대 총회장에 한국 목사가 아닌 언더우드가 선출된 것은 그의 공로와 지도력의 결과이지만, 당시 ‘105인 사건’으로 한국인 지도력이 대거 투옥된 상황에서 교회와 총독부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도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창립총회는 새 고퇴를 사용했다. 이 고퇴는 요한계시록의 7개 교회와 총회산하 7개 노회를 상징하는 7가지 다른 나무조각들로 만들었고,..

[정동주 역사문화 에세이](4)한국인을 사랑한 사람, 무어 목사

[정동주 역사문화 에세이](4)한국인을 사랑한 사람, 무어 목사(상) “대황제 폐하께,나 새뮤얼 무어는 미국의 시민으로서 하늘과 땅을 지으신 하느님으로부터 사명을 받아 주의 복음을 전하는 사람입니다.만약에 황제폐하께서 폐하의 신하들과 함께 이 말씀을 듣기를 원하신다면 저를 불러주시길 황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