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5 22

재미있게 읽는 기독교강요(2), 지식(知識)

재미있게 읽는 기독교강요(2), 지식(知識) 우리는 책을 읽을 때에 단어(單語)의 의미를 잘 인지해야 한다. 단어의 의미를 잘 파악해야 어휘(語彙) 활용 능력이 증가할 수 있다. 사용하는 단어에 개념화가 되지 않으면 어휘를 구사할 때 단어가 우왕좌왕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 다른 개념화로 단어를 사용하면 소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학문할 때에는 단어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신학에서는 단어 사용에 더 신중할 것이 요구된다. 그것은 전능자, 계시자를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십계명 중 3계명은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이다. 세속 언어에는 주의 이름을 망령되게 활용되는 사례가 있다. Oh my God, Jesus Christ라는 문구는 믿음과 전혀 관계없이 사용되는 비..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하나님의 절대주권(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은 하나님의 '전능성'이 아니라 '불변성'이다.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하나님의 절대주권(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은 하나님의 '전능성'이 아니라 '불변성'이다. 우리는 모든 사상의 기원에 대해서 좀 더 명료하게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너무나 평이하게 사용되는 사상도 그 시발자가 있다. 그 사상을 처음 제언한 신학자를 파악하는 것은 사상화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너무나 평이한 명제일수록 그 기원을 잘 파악해야 한다. 그런데 최근 등장한 AI로 인해서 그 찾는 작업이 너무나 용이해졌다. 그래서 너무나 많은 문제들을 풀고 있다. AI가 정답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네 곳의 AI에게 질문하면 공통분모는 쉽게 보인다. "칼빈의 사상이 하나님의 절대주권이라고 말한 신학자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많은 AI들이 벤자민..

형람서원 2025.05.17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주일과 안식일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주일과 안식일​​"주일과 안식일"에 대한 주제는 교리에서 다루기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안식일에 대한 부당한 주장으로 형성된 기독교 교파들이 있다. 미국에서 형성된 안식교(제칠일안식교예수재림교, 약칭 SDA)와 한국에서 형성된 하나님의 교회세계복음선교회(옛날 안상홍의 증인회)이다. 한국 교회는 1990년대에 안식교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하나님의 교회는, 안상홍(1918~1985), 1964년, 안상홍이 장길자 등과 함께 설립했고, 대부분의 교단에서 이단으로 규정했다. 안식일을 강조하면서 주장하는 교파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것은 성경에 주일성수는 명시적이지 않고, 안식일 계명은 4계명으로 명시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안식일 준수를 주장하는 교파는 안식일 주장의 형식..

형람서원 2025.05.16

얼라이언스 교단... Alliance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에는 개신교 종파가 상당 수 있는데, 얼라이언스 교파이다. 민다나오 잠보앙가에서 사역하는 송 선교사님이 방문해서, 잠보앙가에 있는 얼라이언스 교파의 에벤에셀 신학교에 대한 기억을 공유했다. 10여년 전에 방문했던 에벤에셀 신학교는 해변에 있는 상당히 고즈넉한 캠퍼스를 갖고 있었다. 에벤에셀 도서관에는 옛날 고서들도 구비되었지만, 현재 도서들이 없는 시간이 멈춘 도서관처럼 느껴졌다. 얼라이언스 선교사들이 철수한 뒤에 더 이상 관리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에벤에셀 신학교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갖고 있다.Ebenezer Bible College and SeminaryW2FF+FQC, Labuan - Limpapa National Road, Zamboanga, Zamboanga..

기본 2025.05.11

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삼위일체 사역은 외적 사역과 내적 사역이 나뉘지 않는다)

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삼위일체 사역은 외적 사역과 내적 사역이 나뉘지 않는다) 라는 문장은 닛사의 그레고리우스가 처음 헬라어 문장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동방 교회에서는 발전되지 않았지만, 서방 교회에서 깊게 연관되어 발전되었다.헬라어 문장을 라틴어 사용 신학자인 어거스틴이 『삼위일체론』(De Trinitate)에서 사용했고, 이후 서방 신학에서 삼위일체를 논하는 핵심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공교회에서 형성된 삼위일체에 대한 논의는 그리스도의 신성의 참되고 완전함에 대한 고백이다.토마스 아퀴나스는 스콜라 시대에 삼위일체의 내적사역과 외적사역을 구체적으로 구분했다. 아퀴나스는 Opera ad extra sunt indivisa(외적사역은 나뉘지 않..

형람서원 2025.05.11

재미있게 읽는 기독교강요(1), 그리스도인의 병기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기독교강요]의 라틴어 원제는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이고, 영어번역은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이다. '칼빈'은 영어식 발음이어서 우리나라 표준어 발음이 아니다. 표준어 발음은 '칼뱅'이다. 그러나 표준어 발음이 규정되기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서 표준어 발음이 결정 후에도 이전 발음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우리는 존 칼빈으로 사용한다.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를 문자적으로 번역하면, "그리스도인 종교의 훈련" 혹은 연구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우리말로 번역한 한철하, 신복윤 등이 로 번역해서, 그 어휘를 그대로 사용한다. 중국어에서는 ..

코넬리우스 반틸의 변증학. 송영재 박사

코넬리우스 반틸의 변증학송영재 박사 제 1 장 변증학의 역할이 무엇인지 서론적으로 말하고, 다음시간부터 구체적 변증학 내용을 시작하도록 한다. 변증학은 영어로 apologetics 이다. 이는 헬라어 apologia 에서 나온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변호론’, ‘변증론’ 정도로 변증학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apologetic – 변호하다, 혹은 defense 라는 뜻이다. 실제로 사도행전 22:1에 이 apologia라는 단어가 나온다. ‘부형들아 내가 지금 너희 앞에서 변명하는 말을 들으라 하더라’ 여기에서 이 변명하다라는 용어가 apologia 이다. 영어로는 defense 라고 나와있다. 내가 너희 앞에서 변호하는 defense 하는 말을 들으라는 것이다. 행 25:16에도 같은 단어를 쓰고 ..

기독교 연구 2025.05.10

팀 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

팀 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저자팀 켈러출판두란노서원발매2012.02.20. 프롤로그 _ 왜 정의를 말하는가 1부 뿌리칠 수 없는 네 가지 도전 1. 공의를 행하고 있는가- 이제 교회만이 누리는 샬롬은 그만두라 2. 구약의 모세율법을 버렸는가- 번제보다 정의가 시급하다 3. 예수님의 삶을 잊었는가_ 내 구원에만 몰두하고 있는 우리 시대 기독교 4. 당신의 이웃은 누구인가_ 왜 사마리아인을 위해 기도만 하고 있는가 2부 사랑과 정의는 입 맞출 수 있는가 5. 사랑과 정의가 입 맞출 때, 관대한 정의가 이루어진다_ 은혜 받은 사람만이 정의를 이룰 수 있다 6. 멍들어도 몸으로 살아 내라_ 공허한 말은 이제 그만!, 가난한 이들의 필요를 실제적으로 채우라 7. ‘우리’만의 세상에서 벗어나라_ 비그리스도인과도 협력..

형람서원 2025.05.10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 1643–1653)

The member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of Divines, sometimes known collectively as the Westminster Divines, are those clergymen who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that drafte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Long Parliament's initial ordinance creating the Westminster Assembly appointed 121 ministers of the Church of England to the Assembly, as well as providing for participation on the ..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신관연구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신관연구손영광目 次I 서론 ……………………………………………………………………… 11. 연구 동기 및 목적………………………………………………………12. 연구 방법과 범위……………………………………………………… 4II 신의 정의 ……………………………………………………………… 61. 일반적 관점…………………………………………………………… 62. 기독교적 관점………………………………………………………… 73. 이슬람교 관점………………………………………………………… 7III 하나님 용어…………………………………………………………… 91. 일반적 관점…………………………………………………………… 9(1) 하나님 용어의 사용과 그 배경…………………………………… 9(2) 어원적 배경…………………………………..

기본 2025.05.09

"그리스도인"이라 칭함을 받음(사도행전 11:25-26)

"그리스도인"이라 칭함을 받음(사도행전 11:25-26)바나바와 목회 활동으로 안디옥에는 이방인 믿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졌다. 성경은 이들을 "주께 더하였다"고 표현했다. 바나바는 혼자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다소에 있는 사울을 찾아 나섰고, 그를 안디옥으로 데려왔다. 두 사람은 1년 동안 함께 지내며 많은 사람들을 가르쳤다. 이 시기에 안디옥 교회 밖에서 제자들이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리스도인’(Χριστιανούς, Christian)이라는 명칭은 안디옥 교우들에게 부여된 이름이다. 안디옥에서 유대인뿐만 아니라 헬라인에게도 주 예수를 전파했다(행 11:19-20). 그래서 많은 사람이 주께 돌아오는 역사가 있었다(행 11:21). 그런데 안디옥 사람들은 안디옥 교회 교우들을..

형람서원 2025.05.07

원형신학(theologia archetype)과 모형신학(theologia ectypa)

원형신학(theologia archetype)과 모형신학(theologia ectypa)원형신학(Archetypal Theology)과 모형신학(Ectypal Theology)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신학자는 프란시스 주니우스(Franciscus Junius the Elder, 1545-1602)이다. 프랑스 출신의 개혁파 신학자인 주니우스는 그의 주요 저서 《참 신학에 대해서》(De Vera Theologia)에서 이 두 가지 개념을 제시하며 신학적 지식의 근원을 구분했다. 주니우스는 제네바에서 칼빈 아래에서 수학했으며, 유럽의 교회들에서 목회했고, 하이델베르크와 라이덴의 신학 교육 기관에서 사역했다. 주니우스가 제안한 개념화 작업은 후기 개혁파 스콜라주의의 기본적 개념이다(foundational ..

형람서원 2025.05.05

"야단 맞지 않고 자란 Z세대의 문제점"

최근 미 저널리스트 애비게일 슈라이어가 "부서지는 아이들"(웅진지식 하우스, 2025)을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은 야단 맞지 않고 자란 Z세대(1997-2012년 출생자)의 40%가 정신 상담을 받았다는 책입니다. X세대(1964-1970년 출생자)의 경우 26%인 것과 크게 대조 된다고 하였습니다. 미국아이들 중 10% 이상이 ADHD 진단을 받았고, 아이들의 약 10%가 불안 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Z세대의 교육은 트라우마 없이 아이를 키우겠는 것입니다. 소위 사회 정서 학습으로서 감정을 돌보는 행위로 감정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징계도 않는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이러한 교육의 잘못을 지적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사는 사람은 날마다 어느 정도는 감정을 억누른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어른..

[송다니엘편지]새로 선출될 교황이 할 일

안녕하세요? 주 하나님의 평안이 함께하시길 바랍니다. 독일은 아직도 기독교 국가라고 할 만큼 개신교/카톨릭 신자가 많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국민의 50% 이상이 국가교회 신자였는데,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감소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로마 카톨릭에서 성 추문(남자아이 강간)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어린 아이 강간이 대대적으로 행해 왔고, 윗 선에서 이것을 발표해서 해결하지 않고 은폐해왔습니다. 이것이 발표되자 엄청난 숫자가 국가교회를 떠났고 지금도 떠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교(루터파)에도 많지는 않지만 성 추문이 있습니다. 그것보다 더 무서운 것은 교회가 바로 목사, 신학자들에 의해 힘차게 세속화, 혼합종교화되는 것입니다. 많은 68운동가들이 목사, 신부가 되어 교회를 내부로부터 파괴하..

창조과학인가? 창조신학인가?

창조과학운동은 과학적인가?과학의 반증 가능성(反證可能性, Falsifiability)과 관련하여​조덕영 박사는 "창조과학"에서 "창조신학"으로 패러다임을 변경해서 연구하는 학자이다. 과학(일반영역)과 신학(특수영역)이 혼합될 수 없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것은 창조과학회의 창설맴버로서 활동하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창조신학연구소를 설립해서 보다 더 성경적인 신학과 과학 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정진하고 있다.학문(과학)과 신학(계시)의 중요한 차이점은 "반증가능성(反證可能性, Falsifiability)"과 "계시절대성"이다. 과학이 종교영역에 들어설 때에 위험성은 계시적 성격을 갖게 되어, 학자가 절대자처럼 판단하고 주장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학자는 언제나 반증을 받아야 하고, 반증에 대해서 변호할 수..

창조신학 2025.05.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