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칼럼] 개혁: 자신으로부터 개혁과 정진 [목회칼럼] 개혁: 자신으로부터 개혁과 정진 한국 교회는 장로교회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칼빈의 신학을 유산으로 하는 장로교는 근본정신을 따라서 항상 거룩을 추구하는 것이다(성화). 거룩의 추구는 개인과 교회를 시작해서, 일반영역까지 확대할 수도 있다. 그런데 현재 한국 교회는.. 형람서원 2014.03.08
개혁주의란... 개혁주의란... 기사입력 2014-03-08 오후 2:04:00 | 최종수정 2014-03-08 오후 2:05:00 개혁신학이라 함은... 1) 천년기에서 무천년기를 취한다. 2) 성경무오에 근거하여 오경의 모세저작설, 성경의 기적을 충실히 인정한다. 3)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4) 철저히 성경본문 중심으로 주해하며 설.. 형람서원 2014.03.08
[목회칼럼] 성례의 바른 시행 [목회칼럼] 성례의 바른 시행 하나님께서 교회를 통해서 백성에게 은혜를 주는 방편(교회의 표지)이 결정하셨다. 은혜의 방편으로 백성들은 은혜를 풍요롭게 누리게 된다. 은혜의 방편은 “말씀과 성례”이다. 말씀은 “목사에 의한 설교”이며, 성례는 목사로 의해서 집례되는 세례와 .. 형람서원 2014.03.01
동풍 우리 문화에서 동쪽은 해 뜨는 곳으로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다. 그런데 성경에서 동쪽은 심판의 이미지가 있다(렘 18:17, 사 27:8, 호 13:15). 실제로 이스라엘 지역에서 동풍은 산천의 풀밭을 말려죽이는 바람이다. 서풍은 지중해에서 올라오는 시원한 바람이다. 어느 곳에서나 동쪽이 좋은 .. 형람서원 2014.02.24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장로교회. 희망인가? 절망인가?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장로교회. 희망인가? 절망인가? 한국의 기독교는 “장로교”라 해도 손색이 없다. 해외에는 장로교가 많이 없다라고 하면 많은 평신도들은 믿지 못할 소리로 생각할 정도이다. 하나님께서 한국의 장로교로 세계선교에 장로교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다. 각 선교.. 형람서원 2014.02.15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직분은 계급이 아니라 소명이고 사명이다.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직분은 계급이 아니라 소명이고 사명이다. 교회는 각 종파마다 다른 직분 체계를 갖고 있다. 칼빈파(장로파와 개혁파)에서는 목사(teaching elder)와 장로(ruling elder)를 구분한 것이 교회질서(정치)의 특징이다. 성경에서 예수께서 교회의 첫 직분은 “사도”를 임명.. 형람서원 2014.02.08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개혁교회는 칼빈신학, 정통신학이다.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개혁교회는 칼빈신학, 정통신학이다. 개혁교회란 도대체 무엇일까? 한국 장로교에서 “개혁주의”, “개혁신학”, “개혁”은 “신선하고 지적”인 세력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개혁주의란 말이 너무나 많이 난무한다. 최근 한국 교회에서는 네델.. 형람서원 2014.02.01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바른 설교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바른 설교 에크레시아 셈페르 레포르만다! (Ecclesia semper reformanda!) 교회 개혁에 대한 구호는 신교와 구교 모두에서 외치는 표어이다. 그렇다면 왜 구교는 개혁교회가 아니고, 신교 중에서 칼빈파만이 개혁교회가 되어야 하는가? 그것은 교회개혁의 방향과 목표.. 형람서원 2014.01.25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목회칼럼] 개혁하는 교회 에크레시아 셈페르 레포르만다! (Ecclesia semper reformanda!)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개혁(改革), 쇄신(刷新)이란 단어가 사용된다. reformed, renewal과 renovation, innovation이 제기된다. renewal은 “갱신(更新)”으로 번역하는데, “혁신(革新)”, “개신(改新)”이.. 형람서원 2014.01.18
종교란 무엇인가? 오강남, 김영사, 2012. 13,000원. 비교종교학의 석학으로 인정되는 오강남의『종교란 무엇인가?』는 현재인의 종교(宗敎, Religion)에 대한 가치를 알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오강남은 종교 때문에 갈등하는 세계와 사회로 제시했고, 열린 종교와 닫힌 종교로 제시했다. 그러나 종교가 없거나 같다면 다툼이 없는가? 열린 종.. 형람서원 2014.01.10
김세윤의 [요한복음 강해], 두란노, 55-61 김세윤의 [요한복음 강해], 두란노, 55-61 제 1권: 표적들의 책(2:1-12:50). 1) 7개의 표적 - 가나 혼인 잔치(2장), 고관아들 치유(4장), 베데스다 못 38년된 병자 치유(5장), 오천명(6장), 물위를 걸음(6장), 실로암 치유치유(9장), 나사로를 부활(11장) - 이다. 1. 표적들은 예수, 영원한 로고스의 성육신, .. 형람서원 2014.01.01
김세윤 [요한복음 강해], 두란노, 34 ~ 54 김세윤 [요한복음 강해], 두란노, 34 ~ 54 1. 김세윤은 요한복음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눈다. 머리말(1:1-18), 증언들(1:19-51), 둘째 본론 두 부분 1권(2:1-12:50), 2권(13:1-20:31)이다(p.33). 2. 요한복음 1장의 서론, 2장부터 마지막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 영원한 신적 로고스가 성육신하여 하나님의 계.. 형람서원 2014.01.01
김세윤, [요한복음 강해], ~p. 30 김세윤, [요한복음 강해], ~ p. 30 1. 요한복음의 저자는 요한이 아닌(p. 17), 사도 요한의 제자 혹은 제자의 제자일 것이다. 2. "신에게 솔직히"를 로빈슨이 신약학계에서는 보수적이다. 그 이유는 신약의 저술들이 70년 이전에 쓰여졌다고 제시하기 때문이다(p. 19-20). 로빈슨은 공관복음보다 먼.. 형람서원 2013.12.30
에세네파의 기원에 대해서 에세네파의 기원에 대해서 (알프레드 에더스하임, [메시야. 2], 황영철, 김태곤 역, 생명의말씀사, 2013, pp. 107-120) ※ 괄호안의 페이지는 번역본의 페이지 에세네파(Essenes)는 유대인이었지만 분리주의자였고, 교리, 예배, 실행에서 유대교 집단 외부의 파당으로 고작 4,000여명에 불과했다. 에.. 형람서원 2013.12.22
성탄절을 바라보면서 성탄절을 바라보면서 고경태 성탄절이 다가오면서~~ 한국 사회가 연말연시의 흥분이 일어납니다. 성탄절의 즐거움인지~~ 연말연시의 흥분인지 분간이 안 됩니다. 성탄절은 예수님의 탄생 기념일입니다. 비록 정확한 날짜는 아닙니다. 그러나 세계가 예수님의 탄생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 형람서원 201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