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22 10

영등포 노숙인 위한 '봄맞이 특선'… 큰머슴 박희돈 목사의 짜장밥 나눔

3월 21일, 영등포에서 따뜻한 나눔의 시간이 펼쳐졌다. 봄을 맞아 특별한 식사가 준비된 이날, ‘큰머슴’ 박희돈 목사(밥사랑열린공동체 대표)가 직접 요리한 짜장밥이 노숙인들에게 제공됐다.이번 ‘봄맞이 특선’으로 마련된 짜장밥은 깊은 맛과 정성이 더해져, 식사한 이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식사를 한 노숙인들은 “맛이 정말 좋다”, “정성이 담겨 있어 더 감동적이다”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박희돈 목사는 이날 나눔을 통해 단순한 식사 제공을 넘어, 삶의 희망과 신앙의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우리 인생의 광야길을 지나가고 이길 수 있는 힘은 오직 하나님께 있다”며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영적 나침반을 바라보고 기다리는 사람은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박 목사는 기도의 힘에 대해 ..

1조 유로 총리(Der Billionen-Kanzler)

독일 총리 1조 유로 빚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송다니엘 목사의 번역 소개프리드리히 메르츠, SPD 및 녹색당과의 비싼 타협으로 권력을 사다기고자: 쿠르트 자흐(Kurt Zach)/ Junge Freiheit프리드리히 메르츠는 모든 기록을 깨고 있다. 선거에서 승리한 후 이렇게 빠르게 공약을 뒤집고 유권자와의 약속을 어긴 정치인은 지금까지 없었다. 게다가 소리 없이 조용히 뒤집은 것도 아니고, 망설임 없이 엄청난 충격과 함께 뒤집었다. 그는 아직 총리직에 오르지도 않았지만, 독일 국민들에게 추가로 1조 유로(1,000,000,00-0,000€)의 새로운 국가부채를 떠넘기려 하고 있다. 이는 그가 선거 기간 내내 "헌법에 명시된 채무제한(schuldenbremse)은 절대 건드리지 않겠다"고 단언했던 것과 ..

장로회는 시찰회를 운영하여야 하는가?

장로회는 시찰회를 운영하여야 하는가?흔히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로 통칭되는 기독교회들은, 개별교회에 통상적으로 임직한 장로(Presbyter)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처럼 통칭되는 것이 아니라 그 개별교회가 장로회(Presbytery)로서의 노회에 속하여 있다는 의미에서 장로교회라 통칭된다. 한마디로 장로교회는 개별교회로써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장로회인 노회에 속하여 있음으로써 존재하는 것이라고 하는 교회정치적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 “대한예수교장로회”라고 하는 명칭인 것이다. ​반면에 동일한 프로테스탄트 교회들 가운데서 회중주의의 교회정치(Congregationalist polity)를 표방하는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혹은 독립교회(Independe..

칼 바르트의 신 이해는 양태론인가?

칼 바르트의 신 이해는 양태론인가?​양태론(樣態論, Modalism)은 초대 교회의 사벨리우스(Sabellius)가 주장한 이단적 체계이다. 양태론의 다른 표현은 사벨리안(Sabellianism)이다.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의 신 이해를 양태론은 비판하기 시작한 위인은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1926-2024)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용준과 문병호가 바르트의 신 이해를 양태론적으로 평가한다. (김용준, "칼바르트의 신적위격 개념 ‘Seinsweise’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평", , 2012); 문병호, [칼 바르트 신학 비판], 레포르마티오, 2025).​몰트만은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The Trinity and the Kingdom of God,..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4) "믿음으로 구원얻음"​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4) "믿음으로 구원얻음"​고경태 목사(형람서원)​우리나라에 유명한 전도자가 있었는데, 그분의 이름은 최권능(본명 최봉석崔鳳奭, 1869-1944)이고, 목사입니다. 그분은 한국교회에 놀라운 일들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 중에 하나는 "예수천당 불신지옥"이라는 전도 문구로 놀랍게 전도활동을 하셨습니다. ㅇ​한국교회는 "한 번 믿음으로 구원이 확신하다"는 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말씀은 틀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문장이 예정론적 문장은 아닙니다. 그리고 명확한 문장도 아닙니다. 명확하지 않는 문장은 문장을 읽어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교회에서는 "구원받은 날짜를 아는 것"을 중요하게 주장한 종파를 '구원파'라고 합니다. 그렇게 지목된 사람들은 자기들은 '구원..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 '교리'가 무엇일까?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 '교리'가 무엇일까?​고경태 목사(형람서원)​교리(敎理)는 무엇일까요? 교리는 영어로 dogma와 doctrine이 있습니다. 그리고 신학 이론(theological theory)도 '교리'라고 하기도 합니다. ​먼저 신학이론은 교리가 아닙니다. 벌코프의 등은 교리 서적으로 분류하지만, 교리가 아닌 개인의 신학 이론입니다. ​모든 종교에는 '교리'가 있습니다. 불교는 이 교리일 것입니다. 기독교 교리와 불교 교리의 차이점은 규범성에 있을 것입니다. 기독교 교리는 법적 규범을 갖고 있습니다. 본래 기독교 교리는 국가법으로 제정된 문장입니다. 기독교 교리(7대 공의회)는 로마 황제가 소집해서 개최한 국가 규범적 성격입니다. 그리고 루터와 칼빈 시대의 교리도 국가와 사회 규범적 ..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2) 은사중지론과 은사지속론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2) 은사중지론과 은사지속론​고경태 목사(형람서원)​은사중지론과 은사지속론(cessationism vs continuationism)은 우리가 많이 오해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은사중지론이라고 하면, 훅 들어오는 질문은 "그럼 목사님은 은사를 믿지 않습니까?"라는 질문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cessationism vs continuationism을 "은사중지론과 은사지속론"으로 번역하면서 발생한 해프닝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자적으로 번역하면 "중지론과 지속론(계속론)"이 됩니다. 그런데 처음 이 용어를 소개한 번역자가 "은사중지론과 은사지속론"으로 번역하면서 오해가 발생한 것입니다. ​김영한은 은사지속론(continuationism) 학자에..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1) 성경의 명료성과 자증성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1) 성경의 명료성과 자증성​고경태 목사(형람서원)​성경에 대한 교리 체계는 단순한 것 같지만 쉽지 않습니다. 최종적인 규범은"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1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성경은 66권이다"라는 명제도 단순하지만 그 명제를 산출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역사 과정이 필요합니다. 모든 기독교(정통과 이단)는 성경으로 신앙과 신학 활동을 합니다. 성경에 대해서도 여러 오해가 있습니다. 오해는 신앙생활을 바르게 하는데에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특히 교리(신학)에 대해서 오해하면 그렇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성경의 명료성과 자증성에 대한 진실과 오해에 대해서 제시하려고 합니다. ​성경의 명료성과 자증성​성경의 명료성은 성경의 권위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합니다. 중세 로마 교회..

신조를 알아야 교회를 알 수 있다

신조를 알아야 교회를 알 수 있다​형람서원  고경태 박사​우리 한국 교회는 '신조'라는 어휘가 개념이 불분명하게 사용되고 있다. Creed, Symbol, Canon, Articles 모두 신조로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12 Articles는 12신조로, Canon of Dort는 도르트 신조로, Creed of Apostles는 사도신조로 번역하고 있다. 그래서 정작 신조가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신조를 잘 알지 못하면 교회와 교회사(역사적 신앙)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게 된다. 부흥과개혁사에서 Know the Creed and Councils를 이심주가 번역했는데, 라고 번역했다. 이 책의 저자는 Justin S. Holcomb(저스틴 홀콤)인데, 성공회 사제이다. 성공회 ..

신조를 알아야 교회를 알 수 있다

신조를 알아야 교회를 알 수 있다​고경태 박사 형람서원​우리 한국 교회는 '신조'라는 어휘가 개념이 불분명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1907년 독노회를 설립할 때에, 표준문서를 인도연합장로회선교부가 작성한 12 Articles을 "12신조(信條)"로 번역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Creed of Apostles를 사도신조(천주교 종도신경(從徒信經))로 번역했​다. Articles과 Creed를 "신조(信條)"로 번역하면서 신조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갖지 못하게 되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리하려고 한다. ​Creed 신조(信條)Symbol 신경(信經) * 신조와 신경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Decree 교령(敎令)​Canon 교회법전 * 배격문서 -> 형람서원Articles 조항(條項)Acts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