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154

지금 우리는.....

중앙일보 보도에 정계선(56) 헌법재판관의 지적 능력과 열정에 대한 내용이 있다. 그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보다 더 공부를 잘 한다는 그의 지적 능력의 탁월성을.. ... 그리고 그의 발언은 "법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라는 문구는 진보 성향을 그대로 드러낸다.인간은 '동굴'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 같다. 플라톤의 동굴 비유(Cave Allegory)는 「국가」(Republic) 제7권에 나오는 유명한 철학적 우화이다. 동굴 비유의 아주 놀라운 것은 동굴 밖에 갔다온 사람이 동굴 속에서 말을 해도 동굴 안의 사람이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를 죽이려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동굴 밖에 나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플라톤이 실..

형람서원 2025.04.03

[송다니엘 편지]공격받는 독일 헌법 (Ein Grundrecht unter Beschuß)

독일, 표현의 자유가 억압받는다? 송다니엘 목사(유럽개혁신학연구소)P.S.: 내가 오래 전부터 독일에 자유와 민주주의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말해왔다. 이번 기고문은 바로 이 사실을 좀 더 웅변적으로 대변해준다.자유란 언제든지 자기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에 „No!“라고 말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No“를 했다고 해서 감옥에 들어가는 곳이 오늘날 독일, 유럽이 되었다.독일에서 “Big Brother is watching you!“가 실현되고 있다. 몇 달 전에 명색이 우파인 기민당(CDU)가 녹색당과 연정해서 집권하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서 4개의 신고센터가 생겼다. 시민이 동성애, 트랜스를 반대하면 비밀리에 신고당한다!(편집자 주, *) 미하엘 파울비츠(Michael Paulwitz)는 독일..

에덴동산의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주장들은?

[바이블 Q] 아담과 하와가 살았던 에덴동산, 지도상에서 어디일까? (8) 한국장로신문 2024년 10월 29일에덴동산의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주장들은?1) 비옥한 초승달 지대(레반트 지역)“내가 다메섹의 빗장을 꺾으며 아웬 골짜기에서 그 주민들을 끊으며 벧에덴에서 규 잡은 자를 끊으리니 아람 백성이 사로잡혀 기르에 이르리라”(암 1:5). ‘벧에덴’은 ‘에덴의 집’ ‘환락의 집’을 뜻한다. 에덴의 집은 시리아 영역 안에 있는 것으로 아람의 도시국가였다(왕하 19;12, 겔27;23). 또 두로와 시리아와 에덴의 연관성을 표현하고 있다(에덴의 모든 나무 곧 레바논의 뛰어나고 아름다운 나무: 겔 31:16, 28:13). 에덴이라는 구역은 제법 큰 구역으로 오늘날 북부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북부, 이스라..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교리를 모르면서 교리를 싫어함

우리가 교리를 오해했다(00) 교리를 모르면서 교리를 싫어함한국교회에서 교조주의(Dogmatism, 敎條主義) 혹은 독단주의(獨斷主義)를 '교리'라고 평가하며, "교리가 교회를 억압한다"고 주장했다. 많은 신학생, 목회자들이 "조직신학이 교회를 망친다"고 거침없이 말하기도 한다. '조직'을 '폭력조직'의 이미지로 연결시키기도 한다. 이제는 조직신학을 너머 신학이 교회를 망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성적으로 교회를 운영하면 안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교회는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 교회는 공법(公法) 기관이기 때문에, 반드시 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교회의 공법성은 신적 기원으로, 공의의 하나님의 법을 근거해서 운용하는 기관이다. 국가의 공법과 교회의 공법은 개념이 전혀 다르다. 국가는 자연법에 근거한 ..

서철원 박사가 제시한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에 대해서

서철원 박사가 제시한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에 대해서서철원의 박사 논문 제목은 “예수 그리스도의 창조-중보자직: 창조와 성육신 관계에서 연구”이다. The Creation-Mediatorship of Jesus Christ: A Study in the Relation of the Incarnation and the Creation, Amsterdam: Rodopi(1982년)이다. 튀빙겐 대학이 20세기 100대 논문 선정할 때에 선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세윤 교수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김세윤의 논문 제목은 The Origin of Paul’s Gospel(1981년)이다. 김세윤은 칼 바르트의 복음 이해를 구체화시키는 것을 목표했고, 서철원은 칼 바르트의 신학이 상승계열 기독론(혹은 앙양신학)이고, ..

천년왕국에 대한 이해

천년왕국에 대한 이해 최덕성 교수(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교의학 교수)성경에는‘천년왕국’(Millennial Kingdom)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는 않는다.예수님의 사도 요한은 계시록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다가 목 베임을 받은 자들 곧 순교자들과 짐승에게 경배하지 않은 자들과 짐승의 표를 받지 않은 성도들이 살아나서 천년 동안 그리스도와 함께 왕 노릇하고 그리스도와 함께 다스릴 것이라고 말한다(계20:4).기독교계는 이를 일컬어‘천년왕국’이라고 한다.요한의 계시록이 말하는‘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기독교 종말론의 천년왕국설은 전천년설,후천년설,무천년설로 나뉜다.기독교인은 대체로 세 가지 가운데 하나를 지지한다.개혁신학은 무천년설을 지지한다.기독교인은 각각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 천년왕국론은 ..

천년왕국 2025.03.31

요한계시록 개론 (송영목 교수님

요한계시록 개론 (송영목 교수님서론  저자: 사도요한 기록연대: AD66년 네로통치때(계2:9, 3:9, 13:18, 17:10) 기록목적: 박해받던 터키지역의 7교회를 위로하기 위해 해석방법: 요한당시의 관점에서 구약과 연결하여 해석하되 환상은 상징적으로 해석해야 함 기록배경: 네로박해, 유대인들이 사탄의 회당으로 박해, 교회안에 니골라당이 침투 2. 하나님이 주시는 칠복 1) 하나님의 말씀을 읽는자, 듣는자는 복되다(1:3) 2)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는자 복되다.(22:7) 3) 주안에서 죽는자가 복되다.끝까지 신앙을 지키는자(14:13) 4) 예수님오심을 깨어서 기다리는자 복되다.(16:15) 5) 어린양의 혼인잔치에 신부로 초청받은자 복되다.(19:9) 6) 첫째부활(죽음이후에 낙원으로)에 참여하..

천년왕국 2025.03.31

[송영목 교수] 이단들의 요한계시록 해석에 대한 비판 (1)

[송영목 교수] 이단들의 요한계시록 해석에 대한 비판 (1)현대종교 |송영목 교수2021.01.27 08:48 입력‘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유월절을 아십니까?”라는 질문과 더불어 ‘안상홍 증인회’로 알려져 있다. 이 집단은 이만희의 신천지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 신천지처럼 그들도 요한계시록을 애용하며 왜곡한다. 이 글은 그들이 요한계시록의 내용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그리고 왜 연구하는가를 소개하고 비평한다.   1. 요한계시록의 내용‘하나님의교회’ 설립자이자 교주인 안상홍은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의 내용은 초대교회 진리가 2세기 중엽으로부터 3세기까지 마귀에게 밟힘을 당하였다가 16세기 이후부터 진리가 차츰 차츰 회복되는 것과 어린양의 승리와 마귀의 멸망당하는 예언이 다 기록되어 있습니다”라고 ..

천년왕국 2025.03.31

천년왕국에 관한 고찰(계 20:1-6)

천년왕국에 관한 고찰(계 20:1-6)-송영목 목사(고신대 대학교회 담임, 부경성경연구원장)들어가면서계 20:1-6절은 계시록의 내용 중에서 가장 유명한 동시에 성경에서 가장 논란이 심한 구절이다. 단지 계시록 20장의 여섯 절에만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천년왕국(the one-thousand-year reign)은 많은 논란을 이끌어 내었고 아직까지 학자의 견해를 나누고 있다. 특별히 시간 중심의 종말론이 고개를 들 때마다 천년왕국은 직간접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천년왕국은 상징적인 해석을 요청하는가 아니면 문자적인 해석을 요청하는가? 분명한 것은 성도가 그리스도와 함께 천년 동안 다스릴 것이라는 이 예언의 말씀은 박해 하의 요한의 독자에게 큰 소망과 위로가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1. 천년왕국..

천년왕국 2025.03.31

악(1)

데이비드 흄(DavidHume)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는 악을 기꺼이 방지하실 것인가,그렇지 않으면 그렇게 하실 수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무기력하다.그는 하실 수 있지만,기꺼이 하지 않으시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악의가 있다.그가 방지하실 수도 있고 또한, 기꺼이 그렇게 하신다 면,악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David Hume,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part 10.​“악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나 궁극적으로는 신적인 인과율(causality)에 근거한다.”34)​목창균, 「현대 신학 논쟁」(서울:두란노,1999), 456. ​조로아스터교의 핵심 경전인 「가타스」에서 이원론을 언급하고 있는데 그 첫 번째가 “야스나” 30장..

악의 기원 2025.03.31

문병호, 칼 바르트 신학 비판

https://www.youtube.com/watch?v=2LgaEIDFeOk&t=2s 칼 바르트 신학 비판저자문병호출판레포르마티오발매2025.03.07. 목차저자 서문: 바르트 신학 비판의 당위성 및 본서의 의의와 가치 / 17약어 / 27제1장 서론: 본서의 취지 및 구성과 전개 / 29제2장 바르트 신학의 실체와 비판의 논점 / 39제3장 바르트의 ‘계시-편향적 신학’ 비판: 존재의 유비, 실재적 변증법에 주목하여 / 103제4장 바르트의 양태론적 삼위일체론 비판: 계시의 ‘존재 방식’으로써 ‘인격’을 대체 / 291제5장 바르트의 존재의 유비를 상정한 변증법적 기독론 비판: 정통 위격적 연합 교리 거부 / 495제6장 선택하시는, 선택되신, 예수 그리스도 / 747제7장 화해하시는, 화해되신, 예..

살후 1:3-12, 감사와 위로~~

하석준 목사(은혜로 교회) 제목: 나의 믿음은 하나님께 감사할 일이며, 핍박받음은 위로받을 일이다Ⅲ(250330)성경: 데살로니가후서 1 : 3 – 12(10-12)하나님께서 나에게 바라시는 삶이 세상 가치의 성공일까? 아니면 하나님 말씀을 믿는 믿음 안에서 반응하며 사는 것일까? 세상 가치의 성공이란 목적하는 바를 이룸을 의미한다. 혹은 해야 할 일을 이룬 것을 의미한다. 그 ‘목적하는 바’를 혹은 ‘해야 할 일’을 이룬 성공한 사람들은, 성공한 뒤에, 이 일을 위해서 최선을 다했는가? 이 성공을 위해서 그렇게도 힘들게 살았는가? 말하며, 매우 허전하고 쓸쓸하다고 말한다(=허무하다). 그 이유는 마음 깊숙이 자리한 성공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솔로몬 왕이 그랬다(전1:2).그렇다면 하나님의 말씀을 믿..

예수님의 부활의 역사성을 말한다는 톰 라이트

예수님의 부활의 역사성을 말한다는 톰 라이트 영국의 신약학자 라이트(N.T. Wright 1948- )는 그의 저서 " The Resurrection of the Son of God ( 하나님의 아들의 부활 )" 에서 기독교의 부활은 고대 신화와는 전혀 다른 역사적 사건임을 주장하며 초기 기독교인들의 부활 신앙의 방대한 증거자료를 제시했다.​ 하나님의 아들의 부활저자톰 라이트출판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발매2014.02.25. 그런데 '역사'라는 말을 만나면 매우 민감하게 생각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 역사는 사실(fact)로 이해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 이후로 사실은 세계관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보는 것이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주관적 인지로 보는 것이다. 현재도 그러한데, 그렇게 기록된..

형람서원 2025.03.31

[임동헌 칼럼]흔들리는 인생

흔들린다는 것은 불안정하다는 것이요, 중심을 잡지 못한다는 말이다. 흔들림은 소멸하기 전의 증상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늙고, 물건은 오래되면 낡아지고, 나무 또한 언젠가는 고목이 되어 쓰러져 죽는다. 모든 물체는 흔들리다 소멸된다.  전도서에 이렇게 말씀한다. “그런 날에는 집을 지키는 자들이 떨 것이며 힘 있는 자들이 구부러질 것이며”(전 12:3a). 늙으면 집 지키는 일 외에는 할 일이 없는데, 그것도 흔들려 떤다고 표현한다. 인생의 마지막은 떨며 흔들리다 넘어져 일어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다.  사람은 척추가 있어 직립보행을 하는데 중심을 잡도록 창조됐다. 그런데 신체의 흔들림보다 내적 흔들림이 더 위험하다. 허영심을 갖기도 하고, 헛된 욕망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잠간 흔들리다가 제 자리로 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