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2LgaEIDFeOk&t=2s

칼 바르트 신학 비판저자문병호출판레포르마티오발매2025.03.07.

목차
- 저자 서문: 바르트 신학 비판의 당위성 및 본서의 의의와 가치 / 17
- 약어 / 27
- 제1장 서론: 본서의 취지 및 구성과 전개 / 29
- 제2장 바르트 신학의 실체와 비판의 논점 / 39
- 제3장 바르트의 ‘계시-편향적 신학’ 비판: 존재의 유비, 실재적 변증법에 주목하여 / 103
- 제4장 바르트의 양태론적 삼위일체론 비판: 계시의 ‘존재 방식’으로써 ‘인격’을 대체 / 291
- 제5장 바르트의 존재의 유비를 상정한 변증법적 기독론 비판: 정통 위격적 연합 교리 거부 / 495
- 제6장 선택하시는, 선택되신, 예수 그리스도 / 747
- 제7장 화해하시는, 화해되신, 예수 그리스도 / 835
- 제8장 화해된 사람들: 성화와 칭의 / 967
- 제9장 바르트 창조론의 역설: 구속사적 이해를 결여한 자연신학적 접근 / 1015
- 제10장 결론적 고찰: 비정통적, 반교리적, 존재의 유비적, 변증법적, 유명론적, 철학적 대안 신학 / 1049
- 참고 문헌 / 1069
- 부록 / 1093
■ 문병호 교수의 ‘바르트 비판 테제 일곱 가지’
1. 바르트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과 신앙의 유비를 부인한다.
2. 바르트는 로마 가톨릭의 자연신학적 존재의 유비를 도입한다.
3. 바르트는 자의적으로 상정한 대적 관념들의 실재를 변증법적으로 합리화하는 실재적 변증법으로 인식론을 구축하고 그것에 신학을 함몰시킨다.
4. 바르트는 계시 사건의 경륜에 있어서의 세 존재 방식으로 존재를 추론하고 그것들로써 삼위의 인격성을 대체하는 양태론적 삼위일체론을 전개한다.
5.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선재와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 사건으로서의 성육신 및 십자가 죽음과 부활의 역사성을 부인한다.
6.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가 언약의 머리로서 대속의 의를 다 이루심과 그 의의 전가로써 구원하심의 대리적 무름을 부인하는 주관적 속죄론에 선다.
7. 바르트는 창조와 타락의 역사성과 하나님의 영원한 뜻에 따른 선택의 무조건성을 부인하고 창조 자체를 선택과 동일시하는 보편구원론을 지향한다.
반응형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철원 박사가 제시한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에 대해서 (0) | 2025.03.31 |
---|---|
칼 바르트의 신 이해는 양태론인가? (0) | 2025.03.22 |
바르트가 키쉬바움(Charlotte von Kirschbaum)에 대한 글은 <교회교의학> III/3권(1950년) 서문에 등장한다. (0) | 2025.01.15 |
바르트 하나님의 신실성(die Treue) (0) | 2025.01.15 |
바르트는 부활을 부인하는가? (1)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