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J. G. Machen, [기독교와 자유주의] - 고경태 [요약] J. G. Machen, [기독교와 자유주의] - 고경태 1 장 서론 본서의 목적은 논쟁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소개하여 독자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교적 술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의와 사상의 논리적 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오히려 사람들에게는 불경건한 행동으로 간주되기도..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4.10
Exodus 1:8-11 Exodus 1:8-11 현대에서 비돔과 라암셋의 위치에 대해서 궁금해 하지만, 칼빈은 백성이 괴로움과 하나님의 언약에 대해서 관심을 둔다. 8절. 새 왕이 일어나서 요셉이 애굽에 베푼 인애를 잃어버렸다. 사람들의 약한 기억력 때문에 공적비를 세워 기념케 한다. 요셉을 잊은 새 왕조는 이스라엘을 핍박한다... 칼빈 이야기 2008.04.08
Exodus 1:1-7 Exodus 1:1-7 문단 내용: 야곱의 70인이 번성하여 심히 강대하게 되었고, 시대가 변화하였다. 1절. 씨의 번성에 대한 창 22:17절의 예언이 성취되었다. 숫자에 대한 논의, 70명이 어떻게 되는가? 유대 학자들은 요게벳까지 포함하며, 스데반은 행 7:14에서 75인으로 첨가하였다. 성령께서는 바울의 입을 통해서 .. 칼빈 이야기 2008.04.08
[요약] J. G. Machen, [기독교와 자유주의] - 고경태 [요약] J. G. Machen, [기독교와 자유주의] - 고경태 1 장 서론 본서의 목적은 논쟁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소개하여 독자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교적 술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의와 사상의 논리적 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오히려 사람들에게는 불경건한 행동으로 간주되기도..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4.07
율법의 규범적 본질: 칼빈의 기독론적 이해의 고유성 - 문병호 율법의 규범적 본질: 칼빈의 기독론적 이해의 고유성 문병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I.논지 정통개혁주의신학자들은 율법의 본질(natura)을 경건하고 의로운 삶의 규범(regula vivendi pie et iuste)으로 보고 이에 기반해서 율법의 규범적 용법(usus)과 사역(officium)을 강조하는 칼빈의 신학을 기.. 칼빈 이야기 2008.04.06
현대 개혁교회가 회복해야 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회개교리 현대 개혁교회가 회복해야 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회개교리 http://cafe.godpeople.com/calvinism에서 펌 - 원성호의 글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대,소요리문답'이 작성된지가 350여년이 지났지만, 장로교회를 비롯한 개혁교회의 표준 신앙고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그 '웨스트..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4.06
서철원 교수의 '성경적 인간론' 전 서철원 교수의 '성경적 인간론' 신간 / <인간, 하나님의 형상> <종교다원주의> 2008년 03월 22일 (토) 13:41:37 노충헌 mission@kidok.com 총신대신대원 서철원 교수의 신간 <인간, 하나님의 형상>은 성경적 인간론을 다룬 책이다. 인간에 대한 신학적 토론은 하나님의 형성은 인간이 갖는 도덕적이.. 서철원 - 신학 2008.03.29
개혁주의 사상(4) Sola Fide & Sola Scriptura 개혁주의 사상(4) Sola Fide & Sola Scriptura 광신대 목회자반 강의 고경태 박사 16세기 종교개혁의 구호는 “오직 믿음”과 “오직 성경”이다. 그것은 중세 로마 교회의 행위적 구원관에 대한 믿음의 강조와 로마 교회 수위권과 교황권에 대한 성경에 대한 강조이다. 로마 교회가 전횡하였던 왜곡된 구원의 ..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3.26
Re:펠라기우스 논쟁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 논쟁 (서기 410년~420년) 1. 펠라기우스는? 그는 켈트족 출신의 수도사로서 경건(敬虔)과 지성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가 400년 로마시를 방문하였을 때 소위 기독교 문화의 윤리적 붕괴를 목격하고는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즉각 의로운 책임을 호소하는 강력한 설교를 행하기 시..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3.26
Re:칼빈의 성경 해석학 -펌- 1장 서론 성경의 올바른 해석을 위하여 칼빈은 그 당시 종교 개혁자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해석 원리로서 문법적-역사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록 칼빈은 이 방법에 있어서 그 자체의 방법과 연속성을 갖고 있지만, 최근에 칼빈의 해석학 원리를 연구한 많은 학자들은 칼빈이 독특하게 사용한 성경 해.. 칼빈 이야기 2008.03.24
칼빈의 집사제도에 대하여-조창훈 總神大學校 大學院 神學科 組織神學 專攻 趙 唱 訓 신학으로서 본문: 신 16:16에 관한 부설(Excursus) 하나님의 면전에 빈손으로 나타나지 말라고 예배자들에게 명령하는 율법은 신 16:16와 출 23:15, 출 34:20, 그리고 전 35:6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성경 구절의 주석적인 역사는 흥미롭다. 신 16:16은 칼빈에게 있.. 칼빈 이야기 2008.03.24
영어성경번역의 역사 http://shop.iagape.co.kr/mart7/inc.php?inc=shop/eb_1 영어성경번역의 역사 1. 1600년까지 존 위클리프가 성경 전체를 영어로 번역하기 이전에는 부분적인 영어 성경 번역이 존재했습니다. 7세기에 캐드먼(Caedmon)은 창세기와 출애굽기 일부, 그리고 다니엘을, 비드(Bede)는 요한복음을 비롯한 성경의 일부분을, 알드헬름.. 통권 성경 이야기 2008.03.22
본문; 이사야 53:3-12 - 2008년 부활주간 설교(서철원) 본문; 이사야 53:3-12 우리를 자기의 백성으로 돌이키기 위해 그가 고난 받으셨으니 1. 하나님은 창조경륜을 가지셨습니다. 하나님은 창조시에 경륜을 가지셨습니다. 자기 백성을 가지시기로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가지시어 그들 가운데 거하시기를 기뻐하셨습니다. 그로써 백성들의 찬양과.. 서철원 - 신학 2008.03.22
개혁주의 사상(3),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고경태 박사(광신대 개혁주의 사상) (4)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신학은 개혁교회(ecclesia reformata)의 신학 곧 개혁신학이므로 개혁교회의 신앙고백(confessiones ecclesiae reformatae)을 규범과 근본으로 삼는다. 즉 칼빈과 그의 후계자들의 신학을 기초로 삼는다. 칼빈이 저술한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3.18
개혁주의 사상(2) - 개혁주의에 대한 정의(1) 고경태 박사(광신대, 개혁주의 사상) 1. 개혁주의에 대한 정의. 많은 사람들은 ‘주의(主義, ism)’에 대해서 거부감이 있다. ‘주의’는 일상적으로 고형화된 의미를 제시한다. 그러나 개혁주의의 대원리 중 하나인 “개혁된 교회는 계속 개혁되어야 한다.”로 본다면 ‘개혁주의’라는 단어는 바람직.. 정통신학&개혁신학 2008.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