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14 4

김명용 교수의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읽기, 형람서원 고경태

김명용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의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김명용 교수는 칼 바르트 전문 연구가입니다. 칼 바르트는 에서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조(381)에서 삼위일체 부분을 해설했습니다. 바르트는 인격에서 존재양식으로 어휘를 변경했는데, 김 교수도 그 표현이 아래에 있습니다. "바르트는 삼위일체 도식을 "한 인격체(Person)와 세 존재양태(Seinsweise)"로 표현했다" 김 교수는 바르트의 변경 작업이 정당하다고 평가한 것이고, 고경태는 그 변경은 삼위일체를 해체하는 것으로 평가합니다.칼 바르트의 신학저자김명용출판이레서원발매2007.09.11.서언 기독교 교리 가운데 삼위일체론은 일반적으로 이해가 거의 불가능한 극난한 교리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회의 성도들 가운데 삼위일체..

신천지, 다른 이단 종교에서 부정하는 방언....

신천지, 다른 이단 종교에서 부정하는 방언....이단적 성향의 교파에서 방언에 대해서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 집단은 신천지인 것 같습니다. 구원파에서도 그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종파에서 방언을 부정하는 것은 "명확한 깨달음"을 강조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조사를 하다보니 정말 그러한가 봅니다~~ 천지일보에서 소개한 그림이 있네요~~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신천지에서는 기성교단(우리는 정통교회)의 방언 이해를 오순절주의(순복음 교단)의 이해를 사용합니다. 장로교파에서도 오순절적 방언 이해를 사용하는 교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순절주의 장로파"라는 섹션을 제안하기도 합니다. 오히려 순복음에서 장로파처럼 설교한다는 소리도 있습니다. 장로파에서 오순절주의로 가려는 성..

카테고리 없음 2025.02.14

형이상학과 형이하학, 물리학과 메타 물리학

《주역(周易)》의 「계사전(繫辭傳)」에 形而上者謂之道(형이상자위지도), 形而下者謂之器(형이하자위지기)에서 형이상학, 형이하학이라는 어휘를 구성시켰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메타 물리학을 형이상학으로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형이하학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진 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 BC.)의 "물리학(physics)과 메타 물리학(meta-physics)"을 "물리학과 형이상학"으로 번역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은 우주론(에테르와 4원소-불, 공기, 물, 흙), 운동과 변화 그리고 생물(동물과 생명)에 대해서 제시했다. 주요저서는 《자연학, 自然學,  Φυσικῆς ἀκροάσεως》 《천체에 관하여》 《생성과 소멸에 관하여》 《기상학》 《영혼에 관하여》 《동물사》 《동물..

베자와 퍼킨스 사이에 있는 라무스....

베자와 퍼킨스이 예정론을 강조한 신학자로 유사한 것으로 맞지만, 베자와 퍼킨스이 공동으로 한 묶음이 될 수는 없다.​테오도르 베자 (Theodore Beza, 1519~1605)앤드류 멜빌(Andrew Melvill, 1545-1622)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피터 라무스(Peter Ramus, 1515-1572) 라무스주의란 16세기 프랑스의 개혁파 철학자 페트루스 라무스(Pierre de la Ramee, 혹은 Petrus Ramus, 1515-1572)가 전개한 철학이다.​멜빌과 퍼킨스는 프랑스 학자 피터 라무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베자는 라무스와 적대적 관계를 이루었다. 라무스는 회중주의자 모렐리와 친분을 갖고 있었으며 회중주의를 배격하는 베자와 대립 관..

고 목사 수필 2025.0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