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형람서원 332

루터, Here I stand, 나는 여기에 있을 뿐입니다.

1521년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더 이상 일반적인 사람이 될 수 없었습니다. 1521년 1월 4일 교황 레오 10세(Papa Leone X)는 루터의 출교를 공표했습니다. 1517년 10월 31일(11월 1일 만성전 하루 전날)에 비텐베르크 예배당 정문에 게시한 95개조 반박문에 대해서 어느 누구도 변론하지 못했고, 결국 권력과 다수의 세력으로 1521년 신성로마제국의 찰스 5세(Holy Roman Emperor Charles V)가 소집한 의회가 보름스에서 개최해서 루터에게 최종 경고를 했습니다. 루터는 보름스 회의장의 모습을 용처럼 보았다고 합니다. 그 소굴에서 자기 신앙을 굽히지 않고 버텼기 때문에, 개혁된 신앙이 보존될 수 있었습니다. ​ 루터는 “Here I st..

형람서원 2023.10.22

8.15에서 생각하는 성삼문과 신숙주

https://blog.naver.com/lucalcollge/223184072541 8.15에서 생각하는 성삼문과 신숙주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 blog.naver.com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음력 6월 21일))는 동문수학한 막역지우이지만, 우리나라 국민 의식의 양상에서 두 축을 형성하고 있다. ​ 필자는 이덕일 선생을 좋아하는데, 그 중 하나는 계유정란을 주도한 수양대군의 사건에 대해서, 우리나라 역사는 일방적 암기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었다. 역사는 암기 과목이 아니라..

형람서원 2023.08.15

건덕(健德, the edification), virtue(德)

건덕(健德, the edification), virtue(德) ​ 교회의 목표 중 하나는 건덕(建德, edification, οἰκοδομὴν)이다(고전 14:3). 덕(德, virtue)과 법(法, lex)은 깊은 연관 관계가 있다. 교회의 건덕(建德)은 edification이다. “edification”은 “the improvement of the mind and understanding, especially by learning:”(Cambridge Dic)이다. “edification”은 “건덕”으로 번역했지만, 사전적 의미는 “교화 혹은 의식고양”이다. “edification”은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서 마음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edification은 discipline과 연결되어 있다고..

형람서원 2023.08.15

교회의 사역자, 진리와 목회를 힘써야 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집(the household of God)”이고, “진리의 기둥과 터”이다(딤전 3:14-15). 14 내가 속히 네게 가기를 바라나 이것을 네게 쓰는 것은 15 만일 내가 지체하면 너로 하여금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지를 알게 하려 함이니 “이 집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니라 우리말은 통합적 의미를 갖고 있다. ‘집’을 영어로 하면 home, house, household, family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성경에서 말하는 ‘집’은 house, 단순한 건축물은 아니고, household, 즉 그 건축물 안에서 활동하는 인격 공동체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집”이다. 그리스도께 부름(calling)을 받은 인격들이 모인 공동체가 규범대로 예배하는 ..

형람서원 2023.07.15

[스크랩] 보이지 않지만 강력하고 영원한 그리스도의 왕국, invisible the Kingdom of Christ

다니엘에게 보여준 환상의 목적은 하나님을 향해서 전쟁을 일으켰던 왕국을 무너뜨린 바위는 인간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바벨론을 멸망시키는 고레스는 하나님을 향한 전쟁 유발자를 무너뜨리고, 하나님의 성전을 회복하는 일을 했다. 칼빈은 다니엘의 환난과 프랑..

형람서원 2018.01.27

[스크랩] [건은준의 一目聖經] 바울서신: 13권, 14권(히브리서), 바울이 기록한 바울서신이다

[건은준의 一目聖經] 바울서신: 13권, 14권(히브리서), 바울이 기록한 바울서신이다 1. 바울서신은 13권이면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빌레몬서이다. 그리고 히브리서까..

형람서원 2018.01.21

[스크랩] 이중칭의(double justification)와 이중전가(double imputation)에 대해서

이중칭의(double justification)와 이중전가(double imputation)에 대해서 신학도가 신학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신학이 학문으로 기능이 있다는 것은 신학용어 사용자의 의미를 파악하고 사용하는 것이 하나이다. 동일형태의 어휘이지만, 전혀 다른 의미 혹은 유사 의..

형람서원 2017.12.21

[스크랩] "문제를 해결하는 힘은 새로운 정보를 얻는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던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서 온다"

1. 비트겐쉬타인(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1889-1959)의 제시는 한국에서 신학하기(Korea Theology)에 적합한 문구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힘은 새로운 정보를 얻는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던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서 온다"2. 한국에서 과거 기독교 정보를 수집..

형람서원 2017.12.12

[스크랩] `미사’를 개혁해서 ‘예배’로~~그런데 개혁과 역(逆)개혁은 진행중

'미사’를 개혁해서 ‘예배’로~~그런데 개혁과 역(逆)개혁은 진행중기사입력 2017-12-05 오후 9:22:00 | 최종수정 2017-12-05 오후 9:24:11 1517년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예배당 정문에 게시한 행위는 역사의 한 선을 긋는 행동이었다. 루터는 그렇게 위대한 행위를 하지 않았지만, 역사..

형람서원 2017.12.05

[스크랩] `교회 세습’이란 광풍에서 보이지 않는 ‘믿음의 사역자’를 보라

고경태 목사. 광주 망월동 주님의교회 목사. 크리스찬타임스, 한국성경연구원, 세움선교회, 크리스찬북뉴스어떤 기관에서 한국교회 세습의 행태를 보고한 것을 보았는데, 한국 교회에 전반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그 보고서는 교회 규모가 100명 이상 된 교회에서 발생한 세습을 면..

형람서원 2017.10.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