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바르트가 키쉬바움(Charlotte von Kirschbaum)에 대한 글은 <교회교의학> III/3권(1950년) 서문에 등장한다.

형람서원 2025. 1. 15. 17:34
728x90
반응형

I should not like to conclude this Preface without expressly drawing the attention of readers of these seven volumes(일곱 권의 책) to what they and I owe to the twenty years of work(20년 동안) quietly accomplished at my side by Charlotte von Kirschbaum. She has devoted no less of her life and to the growth of this work than I have myself. Without her co-operation it could not have been advanced from day to day, and I should hardly dare contemplate the future which may yet remain to me. I know what it really means to have a helper.  

바르트가 키쉬바움(Charlotte von Kirschbaum)에 대한 글은 <교회교의학> III/3권(1950년) 서문에 등장한다.

1929년 바르트에게 키쉬바움이 들어왔다.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넬리(Nelly Barth Hoffmann, 1893-1976)

샬로테(Charlotte von Kirschbaum, 1899-1975)

1929년도에 30세이던 샬로테가 (바르트가 43세, 아내 넬리가 36세 때) 바르트의 집으로 들어와서 함께 거주했다. 샬롯테는 평생 결혼을 하지 않은 채 칼 바르트와 그리고 넬리와 그 자녀들과 몇십년 세월을 함께 살았다. 바르트는 샬롯테가 들어온 그 다음 해인 1930년 본(Bonn)대학의 조직신학 교수로 갔다.

작은 이층집에서 1965년, 66세의 샤로테가 치매로 요양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집을 나가기까지 35여년 간을 함께 살았다. 칼 바르트와 아내 넬리(1893-1976)와 여비서 샤로테(1899-1975)의 생애는 드러나지 않았다.

샤로테는 1965년 그녀가 66세 되던 해 (바르트가 79세 되던 해- 바르트는 82세에 타계) 치매현상이 생겨 요양원에서 10년을 지내다가 죽었다. 바르트는 요양원을 그의 아내와 함께 주일 오후에 방문했다. 3년의 시간이 흘러 바르트는 샬로테를 방문한 다음 날 죽었다. 그 후에 7년 후에 샬로테가 죽었고, 넬리는 1년 뒤에 죽었다. 이 세 사람은 한 묘비에 있다.

출판 연도 권/부속본 제목 장(내용)

 

1932 CD I/1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리(Prolegomena zur christlichen Dogmatik) 1. 교의학의 기준으로서 하나님의 말씀 2. 하나님의 계시

 

1938 CD I/2 2. 하나님의 계시 (계속) 3. 성경 4. 교회의 선포

 

1940 CD II/1 하나님에 대한 교리(Die Lehre von Gott) 5. 하나님의 인식 6. 하나님의 실재

 

1942 CD II/2 7.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택 8. 하나님의 명령

 

1945 CD III/1 창조에 대한 교리(Die Lehre von der Schöpfung) 9. 창조의 사역

1948 CD III/2 10. 피조물

1950 CD III/3 11. 창조주와 그의 피조물

1951 CD III/4 12. 창조주의 하나님의 명령

1953 CD IV/1 화해에 대한 교리(Die Lehre von der Versöhnung) 13. 화해 교리의 주제와 문제

14. 예수 그리스도: 주로서의 종

 

1955 CD IV/2 15. 예수 그리스도: 종으로서의 주

1959 CD IV/3 16. 예수 그리스도: 참된 증인

1967 CD IV/4 (단편) 기독교 삶의 근거로서의 세례 -

1976 CD IV/4 (유고 단편) 기독교적 삶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