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람 성경

'만나'에 대해서

형람서원 2008. 4. 23. 22:09
728x90
반응형

'만나'에 대해서

 

  '만나'는 성경에 나타난 신비 중 하나입니다. 먼저 만나에 대한 규칙부터 이해해 봅시다.

 

  1) 만나는 일용할 양식만 거두어야 한다.

      일용할 양식을 넘게 거둔다면 부패하고 벌레가 나와 쓸모 없게 된다. 주기도문에서 일용한 양식을 구하는 기도와 일맥 상통합니다. 일용할 양식은 일용할 양식을 달라는 기도보다 일용할 양식에 만족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의 욕심은 일용할 양식을 넘어 축적할 뿐만 아니라, 남의 양식까지 탐내어 자기 창고에 넣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일용할 양식을 구해야 합니다.

 

  2) 만나는 여섯째 날에는 두 배를 거두어야 한다.

      일용할 양식은 만나는 여섯째 날에는 이틀의 양식을 거두어야 한다. 이틀의 양식을 거두지 않고 일곱째 날 아침에 밖에 나갔지만 거둘 수 없었다. 그리고 여섯째 날의 만나는 하루가 지나도 부패하지 않았다. 하나님께서 주신 하늘 양식인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께서 주신 양식을 먹고 살아야 한다.

 

  3) 만나는 법궤 안에서 항속적으로 있다.

      법궤에는 돌판, 아론의 싹난 지팡이, 만나가 있었습니다. 법궤에 있는 만나는 하루, 이틀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항속적으로 법궤안에 있게 되었습니다.

 

   만나의 유통기간은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하나님께서 하늘로 부터 주신 양식의 표징입니다. 이처럼 만나는 신비로운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대 성경 해석에서 만나는 신비로운 하늘 양식이 아니라 자연의 산물에 불과합니다.

 

[다음백과사전]에서 '만나'에 대해서

여러 가지 식물들 또는 수피에서 나오는 생성물을 일컫는 식물학 용어.
소아시아가 원산지인 레카노라속(―屬 Lecanora) 지의류(地衣類) 중 특히 레카노라 에스쿨렌타(L. esculenta)를 만나라고 하는데, 중동지역에서는 빵과 만나젤리를 만드는 데 쓰고 있다. 또한 '낙타의 가시'라 부르는 알하기 마우로룸(Alhagi maurorum)과 알하기 프슈달라기(A. pseudalhagi)의 두 식물에서 나오는 수지를 말하기도 한다. 이 두 식물 모두 가시 모양의 가지가 나며 키가 1m 이하인 관목으로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타마릭스 만니페라(Tamarix mannifera)의 줄기에서 흘러나오는 흰 벌꿀 같은 물질은 먹을 수 있는데 이것도 만나라고 부른다. 깍지벌레가 나무줄기를 뚫어서 수액이 흘러나오게 하거나 나무 스스로 만나를 분비한다.
프락시누스 오르누스(Fraxinus ornus)는 약품으로 써왔으며 당(糖)알코올의 원료인 만니톨(mannitol)을 만든다. 만니톨은 나뭇가지에 깊은 상처를 내고 거기서 흘러나오는 수액을 모아 굳힌 것이다. 이렇게 하여 얻은 달콤한 물질은 플레이크만나·만나·팻만나 등으로 만들어 판다.
 

--> 만나를 '나무의 수액'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이해가 맞다면 만나의 유통 기한과 안식일에 거두지 못한 현상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현재도 만나가 있다는 것도 설명할 수 없다. 당시의 사람들이 만나를 알지 못했다는 것도 설명할 수 없다. 호주에서 '캥거루'또한 '알지 못하는 것'이라고 비유할 수 있지만, 만나의 나무는 명확한 실명을 제시하고 있다. 만나의 실체를 알고 있는데 모른다고 헤매는 이스라엘 백성의 상황을 설명할 수 없다. 현대 주석에서 만나를 이성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며, 성경 문맥을 이해하는데 장애를 제공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