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050

140년 된 CMA(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학교인 얼라이언스 대학(Alliance University) 폐교....

미국 일라이언스 교단 소식이 궁금했습니다. 그 이유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에는 얼라이언스 교회가 많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얼라이언스 교단 신학교가 폐교가 된다는 슬픈 소식을 보게 되었습니다. 민다나오 잠보앙가의 얼라이언스 계열의 에벤에셀 신학교가 기억납니다. ​ 미국의 여러 신학교들이 폐교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곧 우리의 모습이 될 것 같아 마음이 저밉니다. 저는 신학생이 없는 신학교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쉼터와 신학이 증진되는 신학의 산실을 꿈꿉니다. 주의 진리를 지키는 한 파수꾼이 되고 싶습니다. ​ 최덕성 박사님은 캠퍼스가 없는 유비쿼터스 신학교를 꿈꾸고 계십니다. ​ 위기는 기회인데 위기 이전의 형태로 기회를 만들 수 없습니다. 기회는 다..

기본 2023.08.26

청교도 신학이 개혁 신학일까?

청교도 신학이 개혁 신학일까? ​ 조엘 비키, 마크 존스의 (A Puritan Theology: Doctrine for Life, 김귀탁 역, 부흥과 개혁사, 2015)에서 조엘 비키와 폴 스몰리의 으로 진행되었다. ​ 참고로 교리(doctrine)와 한 신학(theory 혹은 thesis)을 구분해야 한다. L. 벌코프의 조직신학(systemaic theology)는 교리(doctrine)이 아니라 한 신학(theological theory)이다. 교리(doctrine)은 공적으로 규범화된 내용이다. ​ 조엘 비키(Joel R. Beeke, 1952 - )는 개혁파(1900년 초기 설립된 NRC. Netherlands Reformed Congregations에서 1993년 HRC. Heritage Re..

도날드 맥클라우드의 조엘 비키의 "은혜로 말미암는 준비" 서평

(조엘 비키와 폴 스몰리의 ‘은혜를 위한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청교도들의 죄인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하나님의 보편적인 방법’에 대한 도날드 맥클라우 박사의 책 리뷰이다). 회심은 보통 예비하는 율법의 역할(law-work) 후에 일어난다는 주장이 이 책의 핵심주제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하나님은 그의 자비와 사랑을 보여주시기 전에 죄인들이 자신의 비참함을 인지하게 하신다고 회심준비론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논지는 이 교리에 대해서 깊이 있게 설명하는 데 노력하기보다, 처음부터 (루터와 칼빈을 포함하여) 이 교리가 개혁주의 진영 안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역사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특별히 영국의 청교도들, 윌리엄 퍼킨스, 존 프레스톤, 윌리엄 아..

독 서 법 2023.08.26

도날드 맥클라우드의 조엘 비키의 "은혜로 말미암는 준비" 서평

(조엘 비키와 폴 스몰리의 ‘은혜를 위한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청교도들의 죄인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하나님의 보편적인 방법’에 대한 도날드 맥클라우 박사의 책 리뷰이다). 회심은 보통 예비하는 율법의 역할(law-work) 후에 일어난다는 주장이 이 책의 핵심주제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하나님은 그의 자비와 사랑을 보여주시기 전에 죄인들이 자신의 비참함을 인지하게 하신다고 회심준비론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논지는 이 교리에 대해서 깊이 있게 설명하는 데 노력하기보다, 처음부터 (루터와 칼빈을 포함하여) 이 교리가 개혁주의 진영 안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역사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특별히 영국의 청교도들, 윌리엄 퍼킨스, 존 프레스톤, 윌리엄 아..

독 서 법 2023.08.22

한국장로교신학회, 벨직 신앙고백서를 다루다, 손재익 객원기자

한국장로교신학회, 벨직 신앙고백서를 다루다 손재익 객원기자 한국장로교신학회(회장: 이상규 박사)가 제26회 학술발표회에서 벨직 신앙고백서(Belgic Confession / Confessio Belgica)에 대해서 다루었다. 벨기에 신앙고백서, 네덜란드(화란) 신앙고백서 등으로 불리는 벨직 신앙고백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와 함께 개혁교회의 3개 일치 신조(Three Forms of Unity / Drie formulieren van enigheid)라 불리는 공적인 신앙고백서이다. 2015년 11월 21일(토) 오후 2시 잠실중앙교회당(담임 노정각 목사)에서 진행된 이 모임은 1부 예배로 이상규 박사(회장, 고신대)가 사회했으며 노정각 목사(잠실중앙교회)가 설교했다. 특히 설교를 맡은 ..

루터칼빈신학회 설립 1차 공개세미나. 21(월) 오후 1시

8월 21일(월) 오후 1시, 루터칼빈신학회(대표 고경태 박사)가 1회 신학세미나를 부천개혁성경신학교(학장 이천우 목사)에서 개최한다. 루터칼빈신학회는 독일 프랑크푸르크개혁교회를 은퇴한 송다니엘 목사가 한국 교회에 대한 사랑과 열망에서 교제를 하던 중에 학회를 설립하며, 공개적인 신학 개진을 선언한 것이다. 마틴 루터에 대한 이해는 독일을 비롯한 칼빈파 진영에서도 정확하게 계승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송다니엘 목사의 평가이다. 마틴 루터에 대한 부족한 이해는 많은 신학 논쟁을 야기했으며, 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한 계기이다. 그래서 더 깊은과 명확한 신학 사유를 시도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송다니엘 목사가 1518년 "하이델베르크 논제"를 해설하고, 고영윤 박사는 "칼빈 저작에 나타난 루터"에 대해서,..

기본 2023.08.15

개혁주의 공교회의 천년왕국 이해<요한계시록 20:1~10절을 중심으로>

개혁주의 공교회의 천년왕국 이해 최 낙 범 박사 (총신교수, 새순교회) 지금 한국교회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신학 논쟁 중 하나가 천년왕국에 대한 문제이다. 이는 계시록20:6절의 ‘천년’(χίλια ἔτη)을 ‘천년왕국’으로 번역하여 사용하므로 비롯되었다. 그리하여 ‘천년왕국’이 하나님의 나라와는 다른 또 하나의 나라로 생각하게 한다. 또 천국과 천년왕국을 대등한 위치에 놓고 서로 비교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결국 이런 이유들로 인해 ‘천년왕국’이란 번역이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사역으로 시작된 천국(하나님의 나라)과는 완전히 구분되는 ‘시대’나 혹은 ‘지상왕국’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천년왕국이란 단어는 성경 어디에도 발견되지 않는다. 단지 세대주의자들이 그들의 신학해석의 정당성을 확보하..

요한계시록 2023.08.15

8.15에서 생각하는 성삼문과 신숙주

https://blog.naver.com/lucalcollge/223184072541 8.15에서 생각하는 성삼문과 신숙주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 blog.naver.com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음력 6월 21일))는 동문수학한 막역지우이지만, 우리나라 국민 의식의 양상에서 두 축을 형성하고 있다. ​ 필자는 이덕일 선생을 좋아하는데, 그 중 하나는 계유정란을 주도한 수양대군의 사건에 대해서, 우리나라 역사는 일방적 암기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었다. 역사는 암기 과목이 아니라..

고 목사 수필 2023.08.15

건덕(健德, the edification), virtue(德)

건덕(健德, the edification), virtue(德) ​ 교회의 목표 중 하나는 건덕(建德, edification, οἰκοδομὴν)이다(고전 14:3). 덕(德, virtue)과 법(法, lex)은 깊은 연관 관계가 있다. 교회의 건덕(建德)은 edification이다. “edification”은 “the improvement of the mind and understanding, especially by learning:”(Cambridge Dic)이다. “edification”은 “건덕”으로 번역했지만, 사전적 의미는 “교화 혹은 의식고양”이다. “edification”은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서 마음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edification은 discipline과 연결되어 있다고..

고 목사 수필 2023.08.15

교회의 사역자, 진리와 목회를 힘써야 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집(the household of God)”이고, “진리의 기둥과 터”이다(딤전 3:14-15). 14 내가 속히 네게 가기를 바라나 이것을 네게 쓰는 것은 15 만일 내가 지체하면 너로 하여금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지를 알게 하려 함이니 “이 집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니라 우리말은 통합적 의미를 갖고 있다. ‘집’을 영어로 하면 home, house, household, family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성경에서 말하는 ‘집’은 house, 단순한 건축물은 아니고, household, 즉 그 건축물 안에서 활동하는 인격 공동체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집”이다. 그리스도께 부름(calling)을 받은 인격들이 모인 공동체가 규범대로 예배하는 ..

고 목사 수필 2023.07.15

[스크랩] 칼 바르트 비평적 읽기(28) § 9.4. 삼위일체론의 의미는 삼중일신을 위한 뿌리

칼 바르트의 &lt;교회교의학&gt; I/1, §.9는 “삼중일신”(Gottes Dreieinigkeit)이다. 바르트는 기존에 믿음의 대상성에서 하나님의 주권개념(Herrschaft)으로, 인격 개념에서 존재양식(Seinsweise)로 전환했다. 그리고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다메섹의 요한(Perichoresis), 루터 등을 제시하면서 삼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