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19 5

[송다니엘 편지]보수적인 사람을 쫓아내는 독일 사회

안녕하세요?독일에서 한 대학교수가 우파라는 이유로 표절의 혐의를 씌워 대학에서 해고를 당한 사건을 소개합니다.그녀는 Bonn 대학의 유명한 정치학 교수 게로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를 들으면 독일 사회가 조지 오웰의 „1984“에서 나오는 오세아니아로 조금씩 다가가고 있음을 느낍니다. 그녀는 상도 많이 받고 수많은 책을 저술했습니다.그녀는 그간 독일의 난민 수용 정책과 정부의 코로나 정책을 비판하고, 러우전쟁에서 마이클 심 박사와 비슷한 논조로 주장(전적으로 러시아의 잘못이 아니다)했습니다. 그러자 그녀는 사회적으로 공격을 당하고 동료들도 그녀를 외면했습니다.그녀가 본 인터뷰에서 주장하는 것은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단지 표현의 자유와 정치적 다양성의 포용을 촉구하는 것입니다. 민주사회에서는 누구도 배..

[임동헌 칼럼]예기불안에서 예기안정, 불안에서 믿음으로

예기불안을 예기안정으로 바꿔야한다. 사람은 심리적으로나 생활의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정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불안한 감정이 들 때. 과거를 회상하면서 예기불안의 전후에 어떤 상황이 자신에게 찾아오는지를 꼼꼼하게 파악해 두면 도움이 된다. 그리고 그런 예후가 보이면 차단하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서 안심하는 마음으로 바꾸면 된다. 방법으로 이런 증상을 보일 때마다 심호흡을 하면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근육을 이완해주면 한결 긴장이 풀어지기도 한다. 세상 사람들은 명상과 요가 등에 많은 관심을 갖는데, 성도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자신을 다독이면서 말씀을 깊이 묵상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고, ‘나는 할 수 있다’, ‘하나님은 나의 ..

예수가 승리자이다! "Jesus is Victor"라는 문장은 누가 말했나??

칼 바르트가 마지막으로 진행한 강의의 주제는 "예수는 승리자다"였다. 바르트는 1961년 바젤 대학교에 한 마지막 강의 주제가 "예수는 승리자였다"라고 했다.블룸하르트의 사역에 대한 칼 바르트와 투르나이젠의 긍정과 찬사는 블룸하르트가 오직 성경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마귀적인 현상들에 대항하였으며 마침내 사탄의 입으로부터 직접"예수는 승리자다!" 라는 고백을 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예수가 승리자이다! "Jesus is Victor"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Johann Christoph Blumhardt, 1805-1880, 독일)십자가를 승리자로 본 대표적 학자는 아울렌(Gustaf Aulén, 1879-1977)이다. 그는 『승리자 그리스도(Christus Victor)』(1930년)에서 십자가를 죄..

조선 시대 양반 비율 연구에 대해서....

* 시가케(四方博)의 저서 『조선 경제의 연구 3』에 따르면, 1858년 대구 지역의 호적을 분석한 결과 양반 호수가 전체 호수의 70.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현필의 분석은 편향성이 심하다. 그것은 철종 시대는 조선 말기로 무질서가 증가하던 때인데, 황현필은 그 지표로 신분 이동이 가능했기 때문에, 조선 농민이 일본의 농민보다 더 좋은 환경이었다고 강의하고 있다. 황현필은 양반과 상민, 노미를 신분 제도의 상승을 긍정적으로 표현한다. 신분제도(계급적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황현필의 강의 내용이라면 더 충격적인 것은 그 일본에게 조선, 대한제국이 강제 병합되었다는 것이다. 일반 역사에서 조선 후기의 양반의 증가를 부정적으로 해석하는데(공명첩, 매관매직, 가짜 족보 등)..

4.19 혁명

학교에서 배울 때는 "4.19 의거"라고 배웠는데, 지금은 "4.19혁명"이라고 한다.​'의거(義擧)'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이 불의에 항거하여 일으킨 저항을 의미한다. '혁명(革命)'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대규모의 시민 봉기한 것이다. 4.19는 단순히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것을 넘어, 이승만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쟁취하려는 국민적인 움직임이었으며, 실제로 제2공화국 수립이라는 정치 체제의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에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의거'에서 '혁명'으로 바뀐 것은 1987년 헌법(9차 헌법 개정)을 개정할 때 공식적으로 전환되었다.​4.19혁명은 주도적인 지도자가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사건이다. 4.19혁명은 1960년 4대 대통령 선거일인 3.15 선거에 부정선거에 대해..

신문읽기 2025.04.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