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의 「계사전(繫辭傳)」에 形而上者謂之道(형이상자위지도), 形而下者謂之器(형이하자위지기)에서 형이상학, 형이하학이라는 어휘를 구성시켰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메타 물리학을 형이상학으로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형이하학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 BC.)의 "물리학(physics)과 메타 물리학(meta-physics)"을 "물리학과 형이상학"으로 번역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은 우주론(에테르와 4원소-불, 공기, 물, 흙), 운동과 변화 그리고 생물(동물과 생명)에 대해서 제시했다. 주요저서는 《자연학, 自然學, Φυσικῆς ἀκροάσεως》 《천체에 관하여》 《생성과 소멸에 관하여》 《기상학》 《영혼에 관하여》 《동물사》 《동물의 부분에 관하여》 《동물의 운동에 관하여》 《동물의 생성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체계는 물리학(physics)과 메타 물리학(meta-physics)으로 구성된다. 메타 물리학은 한 권(12권)의 저서로 되었다. - 아래의 파일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에서 공개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싱학(2006년) 파일이다 - 최근에 김상봉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이라는 제목으로 방대한 형이상학 해설서(1932쪽)를 출간했다.
파일 첨부1_078.pdf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저자김상봉출판길발매2025.01.23.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신학은 아니다. 메타 물리학을 "형이상학"으로 번역한 것은 훌륭한 번역이다. 그러나 학문에 "하학과 상학"이 있는 것은 좋지 않다.
존 오웬은 '신학'이라는 어휘가 피타고라스의 선생인 페레키데스(Pherecydes of Syros, 580~ BC. 520)의 저술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제시했다. 피타고라스(BC 580~500)는 자신이 트로이 사람 판투스의 아들이라고 말하며, 자신이 페레키데스의 가르침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Pherecydes of Syros was a Greek philosopher who combined myth and philosophy in his theology. He is known for his ideas on the origin of the worl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metempsychosis. (구글AI)
난공불락의 도시처럼 보이는 철옹성에 요나가 도착하기 전에 몇 가지 재앙이 이 도시를 덮쳤고(BC 765, 759) 또 완전 일식이 BC 763년 6월 15일에 발생했다.
동양학자 헨리 롤린슨(Henry Rawlinson)은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북부 앗시리아에서 일어났던 개기일식과의 연관성을 주목했는데, 런던대학에서 앗시리아학 교수로 21년간 재직했던 성경학자 도널드 와이즈먼(Donald Wiseman)도 요나가 니느웨에 도착하여 "40일 후에 도시가 멸망할 것이니 회개하라"고 촉구했을 때 개기일식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앗시리아(앗수르) 개기일식은 앗시리아 시조 목록에도 기록된 일식으로, BC.786년부터 746년까지 이스라엘을 통치했던 여로보암 2세 통치 중반에 앗시리아 수도 니느웨에서 일어났습니다.
선지자 아모스는 여로보암 2세의 통치 기간에도 설교를 하고 있었는데, 아모스 5장 8절과 8장 9절을 보면 아모스에 의해서도 개기일식이 언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구절들을 읽어보면, 아모스 선지자가 개기일식을 멸망의 예언으로 사용함으로써 회개를 권면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성경 속의 개기일식 (요나의 외침에 니느웨가 회개한 이유)|작성자 저스틴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Θαλής, Thales, 기원전 7세기(대략 기원전 625년~기원전 624년 경~대략 기원전 547년~기원전 546년 경)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밀레토스 학파의 창시자.
니느웨는 BC. 612년에 멸망했다.
'형람서원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명용 교수의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읽기, 형람서원 고경태 (0) | 2025.02.14 |
---|---|
청교도, 이젠 좀 더 정확하게 생각하자. (0) | 2025.02.13 |
지식(知識, KNOWLEDGE)과 이해(理解, understanding)는 다르다. (1) | 2025.02.02 |
유대적 묵시 종말론은 기독교의 종말론의 기원이 될 수 없다 (0) | 2025.01.28 |
예언은 계시에 근거한 것이고 묵시는 상상에 근거한 것이다. 형람서원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