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스크랩] 칼 바르트 비평적 읽기(28) § 9.4. 삼위일체론의 의미는 삼중일신을 위한 뿌리

형람서원 2019. 1. 19. 20:33
728x90
반응형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1, §.9는 삼중일신”(Gottes Dreieinigkeit)이다바르트는 기존에 믿음의 대상성에서 하나님의 주권개념(Herrschaft)으로인격 개념에서 존재양식(Seinsweise)로 전환했다그리고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다메섹의 요한(Perichoresis), 루터 등을 제시하면서 삼중일신(Gottes Dreieinigkeit) 개념을 확립했다그리고 § 9.4에서 삼위일체론의 의미(Der Sinn der Trinitätslehre)를 제시한다(KD I/1., 395, GG 485, CD, 375). 삼위일체론의 의미는 우리는 삼위일체론 아래서 아버지아들성령의 세 존재양식들 안에서의 하나님의 유일성에 관한 혹은 아버지아들성령의 존재양식들 안에서의 한 분 하나님의 세 번 다르게 있음에 관한 교회 교의를 이해한다”(박순경 역)고 제시했다. “세 번 다름(dreimaligen Anderssein)”의 표현은 양태론(樣態論, modalism)으로 이해하기 쉬운 제시이다그러나 우리는 바르트의 신관을 양태론으로 보지 않는다그것은 모양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그런데 영역(英譯)에서 존재양식(Seinsweise)을 modes of being으로 번역하여, modalism과 mode가 유사해서 더욱 오해할 수 있다우리는 modalism을 양태론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양식론(樣式論)로 번역하기도 한다바르트에게 존재양식은 영원 반복 개념(repetitio aeternitatis in aeternitatie, KD I/1., 386, GG 474, CD, 366)으로 시간에서 변화하는 양태가 아니다양태론은 시간에서 변화되는 경세론적 개념이다바르트에게 성금요일부활절오순절 등은 시간에서 발생한 것이지만영원의 반복이다영원이 시간에 침투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참고 바르트는 Dogma와 Doctrine를 구분한다. Lehre를 영역에서 Doctrine으로 번역했다. Dogma는 Dogma로 번역했다박순경은 두 어휘를 구분하지 않고 번역했다고 제시했다(GG, 485). 그러나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 Dogma는 불변적 진리 체계이고, Doctrine은 탐구와 토론이 가능한 진리이다장로교는 이중예정교리를 진리체계로 받지만모든 개신교가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바르트는 자기 세계인 Theologumenon을 선언하며 Dogma를 확정했다(KD I/1., 396). 바르트의 Theologumenon(신학선언)는 삼중일신Gottes Dreieinigkeit) 개념이다그것을 Dogma라고 선언한 것이다바르트는 <교회교의학> I/1, §.8에서 삼위일체론의 뿌리흔적 등에서 제시한 것이다. 


바르트는 삼위일체론을 성경적인 뿌리로 규정하지만이전 시기의 신학선언으로 규정했다(KD I/1., 396, GG 496). 그리고 옛 교회가 규정했던 이단 혹은 생소한 종교(fremde Religion)”에 대한 평가를 다시 질문해야 한다고 제시했다그리고 바르트는 정통 신학과 개혁신학을 부정하고 자기 계보를 확립했다. “이 계보의 선상에서 4세기의 커다란 결정투쟁들 이래 모든 중요하게 된 교회신학자들이종교개혁자들과 17세기의 그 후계자들을 포함해서 확고하게 진행해온 그러한 교리사적인 계보가 문제될 때에 최고로 책임질 일이다”(KD I/1., 397, GG 497, CD 377) 바르트는 자기 신학 계보에 이단과 생소한 종교도 포용하기 위해서, 4세기 정통신학과 16-17세기 종교개혁신학을 제거시켰다칼 바르트가 주장하는 예수는 1-30년까지의 예수이고, 4세기의 아리우스를 재평가하며, 16-17세기 종교개혁 신학을 재평가하는 신학 구도이다그러나 우리의 예수는 1-33년까지 예수이고, 4세기 아리우스는 이단이며, 16-17세기 칼빈과 루터의 신학은 바른 신학을 회복한 개혁신학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바르트는 4세기에 교회가 규정한 이단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서 이해할 수 없다고 제시했다(scheinen uns nicht zwingend, KD I/1., 398, GG 489, CD 378). 바르트는 이단으로 정죄되었던 그 교회가 타락한 교회였다고 주장했다타락한 교회의 결정을 따를 것인지아니면 믿음의 결단으로 신적 진리를 세울 것인지를 질문했다. 


바르트는 계시에 대해서 하나님은 자기 자신을 계시하는 하나이다”(Gott der ist, der sich offenbart/ God is the One who reveals Himself, KD I/1., 400, GG 490, CD 380)이라고 규정했다바르트가 하는 삼위일체의 질문(Frage)에 대한 정확한 답(Folgerichtigkeit)이다즉 바르트가 삼위일체를 검토한 결과이다삼위일체론은 질문한 적이 없고 교회가 고백하도록 한 믿음 문장이다그런데 바르트는 삼위일체를 비판적으로 성찰(Dogmatik als kritishce Besinnung)했다(KD I/1., 404, GG 494, CD 383). 다만 바르트는 자기 결정을 Theologumenon(신학선언)라고 하여결코 수정될 수 없는 명제로 확언하고 있다. 100여년이 지난 지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바르트의 의견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바르트를 인정하고 바르트의 그늘에 있던지거부하고 정통신앙을 믿고 계승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바르트는 하나님을 계시자라고(Gott der Offenbarer ist) 규정했다(KD I/1., 400, GG 491, CD 380). 바르트의 문장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계시자 하나님으로 전환시킨 것이다그리고 하나님을 계시 주체라고 규정하고계시의 삼중성으로 연결시켰다한 계시의 삼중성은 자연스럽게 동일한 본질을 갖게 될 것이다종속론이나 양태론의 폐단에 빠지지도 않는다바르트는 아리우스가 종속론을 거부하려는 시도였다고 긍적적으로 평가했다교회가 사벨리우스의 양태론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노력한 것과 병치(倂置)시켰다바르트가 아리우스를 이단 족쇄에서 명시적으로 풀지 않았지만이단에 대해 재검토를 완료했다아리우스는 이단이 아닌 종속론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노력한 위인이다그리고 정통신학의 내용을 수정했다그렇다면 아리우스에 대한 판단은 어떠하겠는가현재 그리스도인은 바르트가 정통신학을 재검토하여 해체한 신정통주의를 따를 것인가정통신학을 유지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고경태 목사는
조선대학교(B.E),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일반대학원(Ph. D, 조직신학), 그리고 동신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M. A)을 공부했다. ‘형람서원’에서 성경과 신학을 연구하고 있고, ‘크리스찬타임스’를 직접 운영하면서 복음 증진과 교회와 문화, 선교 활동을 주도하며 후원하고 있다. ‘한국에서 신학하기’란 제목으로 유투브 동영상 강의활동을 펼치고 있다. 존 칼빈의 신학을 이해하고 전파하려고 노력하고, 칼 바르트 신학을 비판하며, 믿음으로 신학, 생활, 복음 선포, 그리고 전도해야 함을 강조한다.

「영분별을 위한 신학좌표」, 「기독교란 무엇인가?」의 저자이고,「현대 칭의론 논쟁」,「오방 선생 최흥준」을 공저하였으며, 곧「에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해설」을 출간할 예정이다. 전남 광주의 무등산 아래에서 ‘주님의 교회’를 담임목회하고 있다.


출처 : 한국개혁신학연구원(형람서원)
글쓴이 : 고목사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