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목사 수필

doxa와 episteme의 구분,,,,

형람서원 2012. 10. 30. 07:58
728x90
반응형

doxa와 episteme의 구분,,,,

 

정리: 고경태 목사

 

doxa와 episteme - Platon

doxa와 gloria - Karl Barth ([교의학개요], 신경수 역, 41)

 

doxa = opinion, belief, 속견(俗見), 억견(臆見), 믿음, 각자가 세상을 보는 눈으로 세계관, 인생관을 의미한다. 생성(becoming)에 대한 앎

episteme = 인식, 존재(being)에 대한 앎

 

사물 속에 있는 것을 끄집어 내는 것이 참된 지식으로 episteme이고, 사물 밖에서 자기 생각을 포장하는 것은 doxa이다. doxa는 being과 nothing의 중간개념으로 양쪽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becoming)이다. 정치에서는 타인보다 강한 doxa가 살아남는다. 그러나 episteme는 존재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에 이르러 doxa와 episteme가 구분되면서 진리는 탐구의 대상으로 자리 잡아, 서구적 학문 이념이 확립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플라톤은 doxa보다 episteme를 더 강력한 체계로 보았다. 플라톤은 자신의 평생의 문제의식을 doxa를 지양(止揚)하고 episteme를 추구하는 것으로 삼았다. 속견은 부단하게 변화하는 현상계에 관한 감각적 인식이며, 지식은 항구불변하는 이데아계에 관한 인식이다. 속견은 환상과 신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물리적인 세계에 관한 인식이다. 인식은 수학적 인식 및 변증법적 인식으로 나뉘고 항구불변하는 이데아계에 관한 지식이다. 플라톤에게 수학적 인식은 감각적 표상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개념적 원형을 직관함으로 완전한 인식은 되지 못한다. 그러나 변증법은 확고부동한 제일원리를 기초하는 방법이다(강영계 편저, [철학의 흐름], 197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