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헨드런(J. van Genderen), 31조파 개혁 교회로 네덜란드 아펠도른 신학대학교의 교수다. 그는 교의학과 교의사 그리고 신조들을 가르친다.
언약과 선택의 관계는 언약의 범위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변기점입니다. 성희찬 목사는 이세령 목사가 제시한 언약 이해 "언약은 택자와 불택자를 포함한 사람에게 주어진 것"에 동의했습니다. 그러한 관점은 W.H. Velema(펠러마) 과 J. van Genderen(판 헨더런) 교수에게서도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세령 목사님은 언약과 선택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이해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언약은 택자나 불택자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주어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 언약의 효력은 믿는 자에게 가능한 것이고, 여기에 믿음이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입장에서 하나님의 선택이 주효한 결과적 역할을 한다는 입장에 서는 것 같습니다. 즉 선택이 가시화되는 방식으로(창조-구속역사) 하나님은 언약적 방식을 도입하셨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아담과의 언약이 타락 이전에서부터 의미를 가지고 우리를 시험하시는 한 방편이었다고 이해를 합니다.”
저 역시 이 견해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이 입장은 칼빈을 비롯한 다수 개혁자들의 견해이며, 제가 소개한 W.H. Velema(펠러마) 과 J. van Genderen(판 헨더런) 교수가 쓴 교의학에서 말하는 입장이며, 31조파 개혁 교회와 기독 개혁교회가 가진 입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이 입장이 성경에서 말하는 언약과 선택의 관계를 정직하게 서술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성의찬 목사(언약과 선택)에서 -
그러나 아브라함 카이퍼와 게르스턴은 언약과 택자를 동일하게 생각했습니다.
카이퍼의 이런 입장 때문에 1892년 합동 (1834년의 분리운동파와 1886년의 돌레앙치 운동파의 합동) 에 반대하여 잔류한 일부 사람들이 현 기독개혁교회이고, 31조파 개혁교회의 1944년 분리 역시 이 문제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즉 31조파가 카이퍼의 견해에 반대하는 논리는 중생의 근거는 하나님의 언약이지 세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성희찬 목사는 아브라함 카이퍼의 견해가 바르트적 언약의 위험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페일러마와 판 헨드런 교수가 공저한 교의학 책을 통해 제가 이해한 바로는 카이퍼나 케르스턴이 선택이 언약을 다스리는 견해를 가졌다면, 칼 바르트와 헨드릭스 벌코프는 선택은 언약에서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바르트의 언약 이해는 자유와 사랑의 신에 의해서 보편성을 갖기 때문에 언약과 선택이 동일한 것입니다. 즉 죄사함에 대한 의식이 없는 구도와 죄사함에 대한 의식이 분명한 카이퍼의 언약 이해와 비교하는 것은 매우 부당합니다. 언약이 강조될 때에 약점은 죄사함의 구도가 약화되는 것입니다. 구속의 시작은 죄사함에 있습니다. 죄사함의 복음이 약한 구조의 신학은 사변이나 율법으로 경도됩니다.
우리는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에서 언약과 선택에서, 언약 안에 선택자를 포함시키는 구도와 언약과 선택을 동일하게 보는 구도로 나뉘었다는 것을 성희찬 목사님의 글을 통해서 보았습니다. 두 견해가 모두 칼 바르트의 언약 구도를 거부하는 것입니다. 두 진영이 다르기 때문에 바르트적이다 라고 분류하는 것은 반목을 증가시키는 분열을 일으키는 것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언약과 선택의 이해가 구원 전개 과정에서 매우 선명하게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앞에서 제시했던것처럼 율법이 강조되는 성향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언약 안에 선택자가 있게되면 택자에게 율법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엄격한 그리스도인의 생활이 부당하지는 않지만, 복음을 위협하거나 형제의 연합을 깨뜨리는 것은 신성모독이 되거나 사랑을 부정하는 행동이 될 것입니다.
형람서원 고경태
[참고자료]
https://m.blog.naver.com/lim9217/221005078662
https://m.blog.naver.com/junam67/150075572381
'고 목사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메르 신화 4화 그 전에 수메르가 있었다. (0) | 2024.03.20 |
---|---|
금쪽이~~ (0) | 2024.03.15 |
성경이 증거하는 주의 날, "재림 혹은 주일" 안식후 첫날, 주간 첫날 (0) | 2024.03.09 |
장로교란 무엇인가?(2) 대한민국에서 장로교란 무엇인가? (1) | 2024.03.04 |
콘스탄티누스(272-(306)-337) 황제의 3 아들과 아타나시우스 그리고 삼위일체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