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Ques. How many persons are there in the Godhead?
Ans. There ar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Ghost; and these three are one God, the same in substance, equal in power and glory.
제6문 신성 안에는 얼마나 많은 인격들이 있습니까?
답 하나님의 신성에는 삼위(三位)가 계시는데 곧 성부, 성자, 성령이십니다. 이 삼위는 한 하나님시요 실체가 동일하며 능력과 영광에 있어서 동등합니다.
Q. 1. What is meant by the Godhead?
A. By the Godhead is meant the divine nature or essence.
Q1. 신성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A. 신성은 거룩한 본성 혹은 본질을 의미합니다. * 우리는 Godhead, deity는 동일하게 '신성'으로 번역합니다.
Q. 2. Are there three divine natures or essences, or are there three Gods?
A. No; for though the three persons be God, the Father God, the Son God, and the Holy Ghost God, yet they are not three Gods, but one God. The essence of God is the same in all the three persons. "There are three that bear record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that is, the Son], and the Holy Ghost; and these three are one." --1John 5:7.
Q2. 세 가지 신적 본성 혹은 본질을 갖고 계십니까? 아니면 세 분 하나님이 계십니까?
A. 삼위(三位)는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이시지만, 세 하나님이 아니요 한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본질은 삼위가 동등합니다. "증거하는 이가 셋이니 성령과 물과 피라 또한 이 셋이 합하여 하나이니라"(요일5:7).
Q. 3 What is meant by th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A. By the three persons in the Godhead, we are to understand the same nature of God with three ways of subsisting, each person having its distinct personal properties.
Q3. 신성 안에 있는 삼위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A. 신성 안에 있는 삼위에서, 우리는 각 위격에서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세 방법으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본성을 이해하게 됩니다.
Q. 4. What is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Father?
A.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Father is to beget the Son, and that from all eternity. "Unto which of the angels said he at any time, Thou art my Son, this day have I begotten thee? Unto the Son he saith, Thy throne, O God, is for ever." --Hebrews 1:5,8.
Q4. 성부 하나님의 특성은 무엇입니까?
A. 성부 하나님의 특성은 영원에서 아들을 낳은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어느 때에 천사 중 누구에게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 내가 너를 낳았다 하셨으며, 아들에 관하여는 하나님이여 주의 보좌는 영영하며 주의 나라의 규는 공평한 규이니이다"(히 1:5, 8). * 아버지와 아들 관계는 출생(generation) 관계입니다. ** [우리말 성경공부] 규(圭), 홀(笏) 번역. Scepter, ‘홀’ 어휘는 구약에서 18회, 신약에서 2회로 총 20회 등장합니다. 개역개정으로 번역될 때 바뀐 어휘 중 하나입니다. Scepter는 통치자의 통치권을 상징하는 막대기입니다. 홀로 번역했는데, 우리나라에서 ‘홀’은 신하가 갖고 있는 패였기 때문에 개정번역이 될 때에 규로 번역했다고 합니다.
Q5. What is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Son?
A.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Son is to be begotten of the Father. "We beheld his glory, the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 of the Father." --John 1:14.
Q5. 성자 하나님의 특성은 무엇입니까?
A. 성자 하나님의 특성은 아버지에게서 출생하는 것입니다(Generation of the Son).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요 1:14).
Q. 6. What is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Holy Ghost?
A. The personal property of the Holy Ghost is to proceed from the Father and the Son. "But when the Comforter is come, whom I will send unto you from the Father, even the Spirit of truth, which proceedeth from the Father, he shall testify of me." --John 15:26.
Q6. 성령 하나님의 특성은 무엇인가?
A. 성령 하나님의 특성은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발출된 것입니다(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거하실 것이요”(요 15:26) * 성령 하나님은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발출됩니다(qui ex Patre Filioque procedit). Filioque는 381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 없는 어휘인데, 589년 라틴 지역(스페인) 톨레도 공의회에서 추가하면서 서방과 동방에서 신학 논쟁이 발생했습니다. 교회는 성상 논쟁과 필리오케 논쟁으로 깊은 신학적 논쟁이 있었고, 문화 정치에서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문제를 갖고 있었습니다. '필리오케' 어휘는 서방교회에선 널리 인정했지만, 864년 콘스탄티노풀 대주교 포티우스1세는 정죄했습니다. 1054년에 교회는 분열했고, 1095년에 십자군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제4차 십자군(1202년-1204년)은 이슬람이 아닌 동방교회,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킨 최악의 사례로 펑가받습니다.
Q. 7. How doth it appear that the Father is God?
A. Because the Father is the original of the other persons, and of every thing else, and because divine attributes and worship are ascribed to him.
Q7. 어떻게 아버지께서 하나님이심이 나타납니까?
A. 아버지는 다른 위(位)격들의 원천이 되시며 신적 속성과 예배는 아버지께 돌려집니다.
Q. 8. How doth it appear that the Son is God?
A. 1. Because he is called God in the Scriptures. "And the Word was God." --John 1:1. "Of whom, as concerning the flesh, Christ came, who is over all, God blessed for ever." --Romans 9:5.
2. Because the attributes of God are ascribed unto him. Eternity. "Before Abraham was, I am." --John 8:58. Omniscience. "Lord, thou knowest all things, thou knowest that I love thee." --John 21:17. Omnipresence. "Where two or three are gathered together in my name, there am I in the midst of them." --Matthew 18:20. Divine power. "He upholdeth all things by the word of his power." -- Hebrews 1:3.
3. Because the honour and worship which is due only to God, do belong to him. In him we must believe. "Believe also in me." --John 14:1. In his name we must be baptized.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Ghost." --Matthew 28:19. Upon his name we must call. "With all that call upo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1Corinthians 1:2. Because if the Son were not God, he could not have been a fit Mediator.
Q8 어떻게 아들께서 하나님이심이 나타납니까?
A. 1. 아들은 성경에서 하나님이라 부르기 때문입니다.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요 1:1), “육신으로 하면 그리스도가 그들에게서 나셨으니 그는 만물 위에 계셔서 세세에 찬양을 받으실 하나님이시니라 아멘”(롬 9:5).
2. 하나님의 속성이 아들에게 주어졌습니다. 영원성 - "아브라함이 나기 전에 나는 있었느니라”(요 8:58). 전지성(omniscience) - “주여 모든 것을 아시오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을 주께서 아시나이다”(요 21:17). 편재성(omnipresnce) - "두 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 나도 그들과 함께 있느니라”(마 18:20). 신적인 능력(Divine power, 전능성)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시며”(히 1:3).
3. 하나님께만 마땅한 영예와 경배가 아들에게 속해져 있습니다. 우리는 반드시 그를 믿어야 합니다. "또한 나를 믿으라”(요 14:1). 우리는 그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야 합니다.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마28:19). 우리는 그의 이름을 불러야 합니다. “우리의 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모든 자들에게 "(고전 1:2). 만약 아들이 하나님이 아니라면, 그는 우리의 합당한 중보자가 될 수 없습니다. * 가정법 강조(중요성, 필요성) 문법입니다.
Q. 9. How doth it appear that the Holy Ghost is God?
A. 1. Because the Holy Ghost is called God. "Why hath Satan filled thine heart to lie to the Holy Ghost? Thou hast not lied unto men, but unto God." --Acts 5:3-4.
2. Because the attributes of God are ascribed unto him. Omnipresence. "Whither shall I go from thy Spirit?" Psalm 139:7. Especially, he is present in the hearts of all believers. "He dwelleth in you, and shall be in you." John 14:17. Omniscience. "The Spirit searcheth all things." 1Corinthians 2:10.
3. Because of the powerful works of the Spirit, which none but God can effect: such as- Regeneration. "Except a man be born of the Spirit, he cannot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John 3:5. Guiding believers into all truth. "Howbeit, when the Spirit of truth is come, he will guide you into all truth."- John 16:13. Sanctification. "That the offering up of the Gentiles might be acceptable, being sanctified by the Holy Ghost." --Romans 15:16. Comfort, called therefore the Comforter. "But when the Comforter is come, whom I will send unto you from the Father, even the Spirit of truth, which proceedeth from the Father, he shall testify of me." John 15:26. Communion. "The communion of the Holy Ghost be with you all." --2Corinthians 13:14.
4. Because the honour and worship due only to God, do belong unto the Spirit, we must believe in him. This is an article of the creed (commonly called the Apostles' Creed), "I believe in the Holy Ghost." We must be baptized in his name.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Ghost." Matthew 28:19.
Q9 어떻게 성령이 하나님이심이 나타납니까?
A. 1. (성경에서) 성령이 하나님으로 불리우기 때문입니다. "어찌하여 사단이 네 마음에 가득하여 네가 성령을 속이고 땅 값 얼마를 감추었느냐 어찌하여 이 일을 네 마음에 두었느냐 사람에게 거짓말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로다"(행 5:3, 4).
2. 하나님의 속성이 성령에게 주어졌습니다. 편재성 (omnipresence) “내가 주의 신을 떠나 어디로 가며" (Whether shall I go from thy spirit? 시 139:7). 특별히 그는 모든 신자들의 마음 속에 계십니다. "저는(보혜사 곧 진리의 영)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요 14:17). 전지성 - "성령은 모든 것 곧 하나님의 깊은 것이라도 통달하시느니라"(고전 2:10).
3. 하나님 외 아무도 할 수 없는 역사, 말하자면 중생과 같은 것을 성령께서 행하십니다.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요 3:5). 그는 신자들을 진리 가운데로 인도합니다. "그러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요 16:13). 그는 (주의 백성을) 거룩하게 하십니다. 이방인을 제물로 드리는 그것이 성령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받으심 직 하게 하려 하심이라”(롬 15:16). 그는 위로하시는 일을 하고 계시기 때문에 보혜사(comforter, 위로자)라 불립니다.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거하실 것이요"(요 15:26). 그는 교통하신다(Communion).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 13:14). * 교통(Communion)은 신학 이해에서 가장 복잡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아직도 구체적인 매커니즘을 밝힐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과 백성이 교통(Communion)하는 것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교통(Communion)은 예배와 성찬에서 필연적으로 수행됩니다. 그 교통의 역할을 성령께서 수행하십니다.
4. 하나님께만 합당하게 돌아가야 할 영예와 경배가 성령께 속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믿어야 합니다. 이것은 신조(일반적으로 사도신경임)의 한 조항입니다(성령을 믿사오며~). 우리는 그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야 합니다.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마 28:19).
Q. 10. How doth it appear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Ghost, being one God, are three distinct persons?
A. 1. The Father begetting, is called a person in the Scripture. -- Hebrews 1:3. Christ is said to be the express image of his person; and by the same reason, the Son begotten of the Father, is a person, and the Holy Ghost proceeding from the Father and the Son is a person.
2. That the Father and the Son are distinct persons, is evident from John 8:16-18. "I am not alone, but I and the Father that sent me. It is also written in your law, that the testimony of two men is true. I am one that bear witness of myself, and the Father that sent me beareth witness of me.“
3. That the Holy Ghost is a distinct person from the Father and the Son, appeareth from John 14:16-17. "I will pray the Father, and he shall give you another Comforter, that he may abide with you for ever, even the Spirit of truth," etc.
4. That the Father, Son, and Holy Ghost are three distinct persons, in one essence, may be gathered from 1John 5:7. "There are three that bear record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and the Holy Ghost; and these three are one." These three are either three substances, or three manifestations, or three persons, or something else besides persons; but- (1.) They are not three substances, because in the same verse they are called one. (2.) They are not three manifestations, because all the attributes of God are manifestations, and so there would be more than three or thirteen; and then one manifestation would be said to beget and send another, which is absurd. (3.) They are not something else besides persons; therefore, they are three distinct persons, distinguished by their relations and distinct personal properties.
Q10 어떻게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께서 한 하나님이시면서도 세 독특한 인격을 갖고 계실 수 있습니까?
A. 1. (아들을) 낳으시는 아버지는 성경에서 한 인격이라 불리웁니다(히 1:3). 그리스도는 그의 인격의 형상을 표현했다고 하며 똑같은 이유로 아버지에게서 출생한 아들도 한 인격이시며,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발출된 성령도 한 인격이십니다.
2. 아버지와 아들께서 구별된 인격을 갖고 계시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8:16-18에서 명백히 증거합니다. “내가 혼자 있는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가 나와 함께 계심이라 너희 율법에도 두 사 람의 증거가 참되다 기록하였으니 내가 나를 위하여 증거하는 자가 되고 나를 보내신 아버지도 나를 위하여 증거하시느니라”.
3. 성령께서 아버지와 아들과 구별되는 인격을 갖고 계시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14:16, 17에 나타납니다.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과 함께 있게 하시리니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4.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세 독특한 인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한 실체 안에 있다는 사실은 요한일서 5:7에 종합으로 나타납니다. “증거하는 이가 셋이니 성령과 물과 피라 또한 이 셋이 합하여 하나이니라" (흠정역(KJV) 본문은 ‘There are three that bear record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and the Holy Ghost; and these three are one'이기 때문에, 아버지와 말씀과 성령이 하늘에 기록되어 있고, 셋은 하나이다) * 요한일서 5:7 번역은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이해를 갖기 위해서 원문과 번역을 비교해야 합니다. 킹제임스유일주의는 KJV 번역을 절대화하며 다른 번역을 정죄하기도 했습니다. 삼위일체 고백은 예수의 신성이 아버지의 신성과 동일함을 고백하면서 형성된 정통교리입니다. 예수님을 합당하게 고백하면 성립되는 것이 삼위일체입니다(고경태). 2016년 미국에서는 영원한 종속주의(EFS)로 새로운 삼위일체 논쟁이 있었습니다.
이 셋은 하나입니다. 세 실체, 세 현시, 세 위격, 위격 외에 어떤 것입니다. 그러나 (1) 그들은 세 가지 실체가 아닙니다. 같은 구절에서 그들은 하나라고 불리우기 때문입니다. (2) 그들은 세 현현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모든 속성들은 현현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 가지나 혹은 열 세 가지 이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현현이 다른 현현을 낳거나 보낸다고 할 수 없습니다. (3) 그들은 위격 외 다른 어떤 것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세 독특한 위격이며 그들의 관계와 고유한 특성에서 구별됩니다.
Q. 11. What should we judge of them that deny that there are three distinct persons in one Godhead?
A. 1. We ought to judge them to be blasphemers, because they speak against the ever-glorious God, who hath set forth himself in this distinction in the Scripture.
2. To be damnable heretics; this doctrine of the distinction of persons in the unity of essence being a fundamental truth, denied of old by the Sabellians, Arians, Photineans, and of late by the Socinians, who were against the Godhead of Christ the Son, and of the Holy Ghost; amongst whom the Quakers are also to be numbered, who deny this distinction.
Q. 11 신성 안에 세 가지 독특한 위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자들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판단해야 합니까?
A. 1. 우리는 그들을(삼위일체 거부자) 신성모독자로 판단해야 합니다. 그들은 성경에서 하나님 자신에 대해 이러한 차이를 분명히 표현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광의 하나님을 반역해서 말하기 때문입니다.
2. 이들은 본질의 일치 안에서 구별하는 교리는 기본적인 진리입니다.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사벨리우스주의(Sabellians), 아리안주의(Arians), 포티네안주의자(Photineans)들, 소시니안들은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며 성령을 대항했습니다. 삼위일체, 기본적인 진리를 거부하는 자들이므로 저주받아 마땅한 이단입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오래 전부터 여러 이단들이 부정한 내용입니다. 그들은 사벨리우스주의자들이며, 아리안주의자들이며, 포티네안주의입니다. 이들은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성령의 신성을 거부하는 자들이었습니다. 이 무리들에 퀘이커 교도들(Quakers) 또한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들도 (한 신성에) 삼위가 구분되어 존재함을 부인합니다. * 즉 그들은 삼위 구분을 부정하고, 한 하나님만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런 부류에는 단일신론(henotheism), 군주론적 단일신론(Monarchianism, 종속론), 역동적 단일신론(Dynamic Monarchianism, 양자론), 양태론적 단일신론(Moelistic monarchianisim, Sabellianism) 등이 있습니다. ** 포티네안주의자(Photineans), Photinus(?-376), Sirmium의 주교이지만,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부정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입니다. 빈센트 목사는 소시니안의 전신인 세르베투스에 대해서는 생략했습니다. 소시니안은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1511-1553)의 직접 후예이고, 소시니안은 유니테리언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지금 교회에서 스스로 유니테리언이라고 자처하는 부류가 상당하지만, 그들이 세르베투스의 후예라고 자처할 수 있을지는.... 아리안주의라고 말할 수 있을지..... *** 빈센트 목사는 당대에 발생하던 퀘이커주의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는 삼위일체 이단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 스코틀랜드에서 삼위일체 거부하는 학자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토론이 있었고, 관용주의가 승리했고, 결국 대학은 교회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18세기 스코틀랜드 총회는 글라스고 대학의 심슨 교수(John Simson, 1668-1740)가 삼위일체를 부정한다고 확증했지만, 관용으로 교수직을 유지시키도록 허용했습니다(매로우 논쟁이 발발한 이유, 서요한의 분석). 하버드 대학(Harvard Univ, 1636년 설립)이 회중파 목회자 양성을 위해서 설립되었지만, 100년이 되지 않아 유니테리언 학교로 전환되었고 결코 회중파 목회자 양성을 위한 목적은 사라졌습니다. 우리는 빈센트(Thomas Vincent, 1634-1678) 목사의 글로 소요리문답 이해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센트 소요리문답 5문 (0) | 2025.01.22 |
---|---|
빈센트 소요리문답 4문, 하나님 (0) | 2025.01.15 |
빈센트 소요리문답 3문, 성경의 기능 (0) | 2025.01.15 |
빈센트 소요리문답 2문 (0) | 2025.01.08 |
소요리문답 91문 유효한 성례를 위해서 복과 믿음 (4)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