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신학

‘합신의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 2018년

형람서원 2024. 5. 20. 09:02
728x90
반응형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회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총장 정창균) 교수회는 2018년 11월 15일, ‘합신의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을 선언했다. 이날 학생들과 함께 선언문을 낭독하고 이후 교수들의 서명하여 대외적으로 이를 천명했다.

선언문 취지는 현재 목회자들의 사역의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문제로 진리를 흐리게 하는 사태에 대해 교수들이 뜻을 모으고 건전한 신학바탕과 방향에서 우리가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를 대외적으로 천명하여 복음을 수호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성경의 교훈을 지키고 온 세상에 설명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현 시대뿐 아니라 후대에까지 바른 복음의 기초 위에 건전한 신학바탕의 진지를 굳건히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합신의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

 

우리는 성경의 계시에 따라 하나님께서 태초에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직접 만드셨다는 ‘창조의 사실’을 믿는다. 근대에 등장한 진화론은 어떠한 모양으로 개진된 것이든 하나님의 ‘직접적인 창조’를 부인한다는 점에서 성경의 창조론과 어긋난다.

최근 해외 일부 복음주의자들 안에서 하나님께서 진화의 방식으로 창조하셨다는 주장 곧 ‘유신 진화론’ 또는 ‘진화적 창조론’이 주장되고 있다. 지금 그 영향이 한국교회 안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런 사태는 신학자들의 사적 주장에 그치지 않고 목회자들의 성경 이해에 심각한 왜곡을 초래하며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고 구원을 받아 신앙을 이어가야 할 다음 세대의 복음 이해도 변질시키고 있다.

이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회는 이런 현상을 심히 우려하여 ‘유신 진화론’을 비판하고 다음과 같이 성경의 교훈에 일치된 ‘성경적 창조론’을 천명하며 그리스도의 교회를 복음 안에서 지켜나가고자 한다.

 

첫째, 창세기 1-3장을 비유적(比喩的)이거나 풍유적(諷諭的)으로 해석하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 창세기 1-3장은 실제로 있었던 사건을 기록한 역사적 사실이다.

 

둘째, 창세기 1-3장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을 부인하면서 지구상의 생명체의 존재에 대해 성경이 언급하지 않는 진화론적 결론을 임의로 도출해 내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 예수님과 신약의 기자들은 창세기 1-3장을 역사적 사실로 믿었으며 이러한 성경의 내용은 ‘하나님의 직접적 창조’가 오류(誤謬)가 없는 진실임을 말한다.

 

셋째, 창조와 복음에 관한 성경의 올바른 전통적인 신학을 허무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 ‘하나님의 직접적 창조’에 대한 신앙은 성경의 계시에 일치하며 교회의 전통적인 교리에 부합한다.

 

넷째, 무작위적인 무방향의 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해 생명이 출현하였다고 주장하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을 따라 말씀으로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만물을 직접 창조하셨다.(창 1장)

 

다섯째, 아담과 하와가 모든 인류의 조상이 아니라고 하며 아담과 하와 이전에 있던 선행(先行) 인류에게서 육적인 몸을 받아 태어난 것이라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께서 직접 창조하신 최초(最初)의 사람이다.

 

여섯째, 아담과 하와 이전에 있던 선행(先行) 인류들은 아담과 하와가 범죄 하기 이전에 이미 도덕적으로 악한 일을 행하였다고 하고 아담과 하와는 무죄한 상태로 있었던 적이 없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아담과 하와는 흠이 없는 순전한 상태로 창조되었으며 아담과 하와는 첫 번째로 죄악(罪惡)을 행한 사람들이다.(창 3:6)

 

일곱째,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전에도 죽음은 이미 존재하였다고 하며 아담과 하와 이전의 생물학적 조상인 선행(先行) 인류도 죽도록 되어 있었고 실제로 죽었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인류의 조상인 아담과 하와는 본래 죽도록 창조된 것이 아니다. 죽음은 아담과 하와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이다.(창 2:17)

 

여덟째,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식물과 동물)가 최초의 생명체인 어떤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進化)의 과정을 통해 출현하였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모든 식물과 동물들은 하나님께서 ‘그 종류대로’ 창조하신 피조물이다.(창 1:12,21,25)

 

아홉째, 동물과 사람이 지구에 등장한 이후에도 새로운 생물의 종이 계속해서 탄생하고 있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하나님께서는 정확히 6일 동안 창조 사역을 진행하셨고 일곱 째 날에 안식하셨기에 새로운 종류의 생물을 창조하시는 그 이상의 창조 활동은 하지 않으셨다.(창 2:2)

 

열째, 세계의 생존 환경이 본래에도 지금과 같았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 하나님께서 지으신 세계는 본래는 ‘(심히) 좋은’ 것이었으나 아담과 하와가 죄를 범한 후에는 인간에게 적대적인 것으로 변질(變質)되었다.(창 3:18,19)

 

주후 2018년 11월 15일(목)

합동신학원대학교 교수 일동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에 대한 이해와 비판

- 칼빈의 <창세기 주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n the Biblical Creation Declaration of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 Based on the Calvin’s <Commentary of Genesis>

 

유재일 목사

Jaeil YU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

ACTS Seminaries, Trinity Western University

7600 Glover Road, Langley, BC V2Y 1Y1, CANADA

E-Mail: jaeil.yu@gmail.com

(Received on December 12, 2018,

Revised and accepted on January 12, 2019)

 

[ABSTRACT] On November 28, 2018, all of professors at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published ‘The Biblical Creation Declaration’. The declaration reflects the current view of science in Korea's conservative church. The declaration is mainly based on the contents of Genesis Chapter 1-3. They explicitly oppose the Evolution theory and Theistic evolution, Pre-Adam human race in their declaration. They support the history of the young Earth with the declaration. So how does Calvin, the root of their theology, comment on Genesis Chapter 1-3? Is their declaration deeply concerned about the religious benefits of Christians?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declaration and summarized the comments on Calvin's <Commentary on Genesis> Chapter 1-3. Calvin is convinced that the creation of God is definitely historical. For Calvin, the natural world is to make the Special revelation shiny even more. Calvin has an open mind that recognizes both special and natural revelation in his commentary. So The wide range of natural events discovered by the advance of science is the clear evidence of God's providence to make the special revelation even brighter for Calvin.

 

I. 들어가며

II. 칼빈의 성경관과 성경해석

III.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

IV. 칼빈의 창세기 주석 해설

1. 생물의 창조 - 창1:12, 21, 25

2. 인간의 창조 - 창1:26-27; 2:22

3. 아담과 하와의 타락 전 무흠성 - 창3:6

4. 생물의 죽음 - 창2:17

5. 6일 창조의 완벽성 - 창2:2

6.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피조세계의 죄 - 창3:18-19

7. 칼빈의 창조 인식

V. 칼빈의 창세기 주석 관점에서 본 선언서

VI. 참고문헌

 

I. 들어가며

 

종교개혁가 칼빈은 개신교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인물이다. 그는 삶의 전 영역을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원리로 풀어냈다. 그의 사상은 개혁주의의 시초가 되었으며, 오늘날 장로교회의 기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의 장로교회는 칼빈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신학과 성경관은 오늘날 개혁주의 신학에 아직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개혁주의를 강조하는 한국의 신학 진영에서는 기독교 사상, 특별히 창조관에 도전하는 세속 과학에 대한 반작용으로 성경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고 믿을 것을 더욱 강조한다. 개혁주의 신학 진영은 성경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것으로 모든 것을 설명한다는 주장의 뿌리를 칼빈 사상에서 찾는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성경만이 세상의 삼라만상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원리라고 이해하는 한국의 창조과학 운동이 이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얼마 전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을 표방하며 개혁주의 신학을 좌우명으로 하는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일동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이하 본 선언문)을 발표했다. 기독교 언론지를 통해 발표된 본 선언문은 한국 개혁주의 신학 진영이 과학과 신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현주소를 잘 반영해준다.

과학과 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질문에 개혁주의 관점에서 칼빈의 사상과 그의 성경관은 중요하다. 과연 칼빈의 사상과 특별히 그의 성경주석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창조는 오늘의 한국 개혁주의 신학 진영에서 말하는 것과 일치하는가? 본 글에서 한국 개혁주의 신학 진영의 과학관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본 선언문이 근거 삼은 성경구절을 칼빈은 그의 성경 주석에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칼빈의 창조관과 본 선언문의 창조관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필 것이다.

 

II. 칼빈의 성경관과 성경해석

 

기독교 신학의 역사란 시대마다 다양한 각도에서 성경을 해석한 기록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종교개혁가들의 성경 해석은 기존의 권위였던 로마 교회와 교황을 반대하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성경은 삶의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절대적 권위였다. 칼빈 또한 종교개혁적 사상의 맥락에서 성경을 해석한다. 칼빈에게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학뿐 아니라 하나님의 모든 통치 영역에 유일한 원리였다. 칼빈은 사상의 근원적인 원리, 생각과 말에 대한 확실한 규칙을 성경에서 찾고 마음속의 생각과 입에서 나오는 말이 성경과 일치해야 한다고 말한다.

칼빈의 성경관을 한마디로 이야기하자면 성경은 원천이며 교사라는 것이다. 칼빈은 성경을 하나님과 인간을 확실히 아는 교사와 지도자로 생각했다. 이러한 칼빈의 사상은 한국 개혁주의 신학이 성경을 지혜와 지식의 원천으로, 또 그것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온전한 지식을 얻고, 어리석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참 하나님을 볼 수 있다고 믿는데 영향을 미쳤다.

킬빈은 성경의 저자들이 평범한 백성들을 위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단순하고 쉽게 기록했다고 이야기 한다. 그렇기 때문에 칼빈의 성경 해석의 기본적인 원리는 간결성과 용이성으로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성경을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는 애매모호함을 제거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단순하고 명료한 해석을 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칼빈의 성경 해석 원리는 성경의 명료성과 관계되어 있다. 즉 성경은 보다 더 분명한 문맥에 의해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칼빈에 따르면 성경은 필요하고 유익한 지식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는 동시에 유익한 지식이 아니면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는 성령의 학교다. 칼빈은 모든 문제를 성경에서 시작해 성경의 예로, 성경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성경이 의도하는 가르침을 순수하게 탐구하였고, 성경이 멈추는 곳에서 자신의 한계를 고백했다. 인간은 제한된 지식과 부패한 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넘어가서는 안 된다.

 

III.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적 창조론 선언문>

 

2018년 11월 28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일동은 본 선언문을 <기독교개혁신보>에 기재했다. 아래는 선언문의 전문이다.

 

우리는 성경의 계시에 따라 하나님께서 태초에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직접 만드셨다는 창조의 사실을 믿는다. 근대에 등장한 진화론은 어떠한 모양으로 개진된 것이든지 하나님의 직접적인 창조를 부인한다는 점에서 성경의 창조론과 어긋난다. 최근 해외 일부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하나님께서 진화의 방식으로 창조하셨다고 주장하는 ‘유신 진화론’ 또는 ‘진화적 창조론’이 대두하고 있으며, 그러한 영향이 한국 교회 안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사태는 신학자들의 사적 주장에 그치지 않고 목회자들의 성경 이해에 심각한 왜곡을 초래하며,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고 구원을 받아 신앙을 이어가야 할 다음 세대의 복음 이해도 변질시키고 있다. 이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진은 이러한 현상을 심히 우려하여 유신 진화론을 비판하고, 다음과 같이 성경의 교훈에 일치된 창조론을 천명하며 그리스도의 교회를 복음 안에서 지켜나가고자 한다.

 

창세기 1-3장을 비유적이거나 풍유적으로 해석하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창세기 1-3장은 실제로 있었던 사건을 기록한 역사적 사실이다.

창세기 1-3장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을 부인하면서 지구상의 생명체의 존재에 대해 성경이 언급하지 않는 진화론적 결론을 임의로 도출해 내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예수님과 신약의 기자들은 창세기 1-3장을 역사적 사실로 믿었으며, 이러한 성경의 내용은 하나님의 직접적 창조가 오류가 없는 진실임을 말한다. (마 19:4-6, 23:35; 눅 3:38, 11:51; 행 17:26; 롬 5:14; 고전 11:8, 15:22, 45; 딤전 2:13-14; 유 14. 참고구절 히 11:1-7, 12:24; 벧전 3:20; 벧후 2:5; 요일 3:12; 유 11)

창조와 복음에 관한 성경의 올바른 전통적인 신학을 허무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하나님의 직접적 창조에 대한 신앙은 성경의 계시에 일치하며, 교회의 전통적인 교리에 부합한다.

무작위적인 무방향의 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해 생명이 출현하였다고 주장하는 유신 진화론을 배격한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을 따라 말씀으로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만물을 직접 창조하셨다. (창 1장)

아담과 하와가 모든 인류의 조상이 아니라고 하며 아담과 하와 이전에 있던 선행인류에게서 육적인 몸을 받아 태어난 것이라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께서 직접 창조하신 최초의 사람이다. (창 1:26,27; 2:22)

아담과 하와 이전에 있던 선행인류들은 아담과 하와가 범죄 하기 이전에 이미 도덕적으로 악한 일을 행하였다고 주장하며, 아담과 하와는 무죄한 상태로 있었던 적이 없다고 말하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아담과 하와는 흠이 없는 순전한 상태로 창조되었으며, 아담과 하와는 첫 번째로 죄악을 행한 사람들이다. (창 3:6)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전에도 죽음은 이미 존재하였다고 하며, 아담과 하와 이전의 생물학적 조상인 선행인류도 죽도록 되어 있었고 실제로 죽었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인류의 조상인 아담과 하와는 본래 죽도록 창조된 것이 아니다. 죽음은 아담과 하와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이다. (창2:17)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식물과 동물)가 최초의 생명체인 어떤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의 과정을 통해 출현하였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모든 식물과 동물들은 하나님께서 “그 종류대로” 창조하신 피조물이다. (창1:12, 21, 25)

식물, 동물, 사람이 지구에 등장한 이후에도 새로운 생물의 종류가 계속해서 탄생하고 있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하나님께서는 정확히 6일 동안 창조 사역을 진행하셨고 일곱 째 날에 안식하셨기에, 새로운 종류의 생물을 창조하시는 그 이상의 창조 활동은 하지 않으셨다. (창2:2)

세계의 생존 환경이 본래에도 지금과 같았다는 유신 진화론의 주장을 배격한다.

하나님께서 지으신 세계는 본래는 “(심히) 좋은” 것이었으나, 아담과 하와가 죄를 범한 후에는 인간에게 적대적인 것으로 변질되었다. (창3:18, 19)

 

유신 진화론은 성경의 창조론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은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인간의 타락과 원죄, 그리스도의 대리속죄와 부활, 재창조 등 기독교 복음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 진리를 거부하는 것이 되고, 복음과 교리 전반에 치명적인 해악을 끼치는 것이 된다. 이처럼 기독교의 복음 자체를 뿌리째 부인하는 유신 진화론은 지금 세대는 물론 다음 세대에 속한 많은 이들이 성경의 교훈에 근거한 신앙을 떠나게 하거나 받지 못하게 만들고, 결국에는 교회의 존립을 위협할 것이다. 이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진은 이러한 불행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유신 진화론이 주장하는 가르침들의 위험성에 대해 지적하면서 이 사상에 대해 심각한 경계심을 가질 것을 신학계와 교회에 강력히 권고하는 바이다. 아울러 신학교와 교회는 성경이 문자적으로 말씀하는 창조의 교리를 소중히 간직하여 지금 세대는 물론, 특별히 다음 세대에 이 교리를 충실히 가르칠 책임이 있음을 엄숙히 확인한다.

2018. 11. 15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일동

 

기독교개혁신보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의 기관지로 한국 교회의 개혁을 주도하는 신문사로 자타의 평가를 받는다. 곧 한국 개혁주의 신학 진영이 위 선언문을 강하게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IV. 칼빈의 창세기 주석 해설

 

위 선언문은 대부분 창세기 1-3장의 해석에 대한 이야기이다. 창세기 해석을 근거한 위 선언문은 크게 세 가지, ‘진화론’, ‘유신진화론’, ‘선행인류’에 대해 반대한다. 그렇다면 칼빈의 창세기 주석은 본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자유주의 진영의 고등비평은 창세기 1장과 2장에 사용된 하나님의 이름(엘로힘과 야훼)이 서로 다르다는 것 때문에 후대의 유대인들이 어떤 이유에서 서로 다른 문헌들을 종합해 본문을 만들어 냈다고 본다. 또 세계 여러 곳에 창조 신화가 있듯이 창세기의 내용도 그 중 하나라는 신학적 견해도 있다.

그러나 칼빈은 성경의 역사성과 그 사실성을 기본적으로 인정한다. 칼빈에게 있어 성경의 역사성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 사실성을 전제로 칼빈은 성경 주석을 썼다. 칼빈은 성경에 집착했다. 칼빈의 집착력은 성경 주석의 분량만 봐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칼빈의 <기독교강요> 또한 성경을 보는 입문서와 같다. 칼빈은 전 생애를 드려서 성경을 주석했기에 그의 생애는 성경을 주석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칼빈은 위 선언문에 사용된 성경 구절을 어떻게 주석했는가? 선언문에서 제시한 성경 본문 순서대로 살펴보자.

 

1. 생물의 창조 - 창1:12, 21, 25

 

칼빈은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 세상은 아무 것도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다윗은 시편에서 ‘주의 말씀으로 만들어졌고 입김으로 장식되고 꾸며졌다' (33:6)고 노래했다. 칼빈은 그 시대까지 알려진 우주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지만, 하나님이 자연의 법칙이나 해와 달을 이용하지 않고 생물을 만들었다고 말하면서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특별했음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창조는 무에서 일어난 것이지만, 이제 다른 물질에서 형성된 창조를 이야기한다. 흥미로운 것은 칼빈이 인간을 제외한 하나님의 창조를 다섯째 날까지 완전히 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성경에 묘사된 세계를 생명의 샘으로 본다. 엿새째 되는 날, 인간의 창조로 하나님의 창조 사역은 완전해진다. 하나님의 말씀은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땅과 물의 생물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롭게 생성된다.

 

2. 인간의 창조 - 창1:26-27; 2:22

 

본 절에서 칼빈은 인간의 창조와 더불어 많은 부분 하나님의 위격과 인간의 타락으로 잃어버린 하나님의 이미지에 대해 언급한다. 창조와 관련해 하나님은 분명히 그가 하고 싶은 것을 한마디로 명령할 수 있었지만 그는 어떤 식으로든 인간의 우수성에 대해 이야기하기로 결정했다. 하나님은 인간의 창조에 관한 자문을 받음으로써, 그 위대하고 멋진 일을 증명한다. 인간이 하나님의 이미지대로 창조되었다고 할 때, 신을 육체적으로 상상하지는 않지만, 신의 이미지가 인간의 몸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죄로 인해 우리 안에 하나님의 이미지가 파괴되었다.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의 영적 전쟁은 그 이미지의 회복을 의미한다. 또 하나님은 인간을 세상의 주인으로 임명하였다. 인간은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권위, 존엄성이 있어야 한다. 창조의 질서 속에서 인간을 위해 그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 하나님의 아버지적인 친절이 눈에 띈다.

칼빈은 아담이 자신의 아내를 하나님에게 받은 것처럼 맞아들였기 때문에, 결혼의 신성함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이야기한다. 결혼이 신성한 이유는 우리가 하나님을 창조주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칼빈은 여기에서 여성의 창조보다 하나님께 주권이 있는 거룩한 결혼에 더 관심을 집중하는 것처럼 보인다.

 

3. 아담과 하와의 타락 전 무흠성 - 창3:6

 

하와는 나무의 열매를 보고 성욕 같은 강한 욕구에 감염되어 불경한 마음의 전달자가 되었다. 이전에 그녀는 그 나무를 보고 아무런 욕구도 느끼지 않았고, 또 그것이 그녀의 마음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었다. 그것은 하나님 말씀에 대한 그녀의 믿음이 그 마음과 모든 감각의 최고의 수호자였기 때문이다. 하와가 그 믿음을 저버렸을 때, 자신의 모든 감각을 타락시켰고, 그 타락은 그녀의 몸뿐만 아니라 영혼의 모든 부분에 퍼져 나갔다. 그녀의 감각은 ‘말씀에 대한 신뢰’라는 조건으로 순수했고 유혹에 보호를 받고 있었다. 다시 말해 칼빈에 따르면 하와는 ‘하나님 말씀의 신뢰’라는 조건으로 순전한 상태였지 신과 같이 순전한 존재가 아니었다.

아담은 그녀가 그 과일을 맛본 직후, 혹은 그 전부터 그녀와 함께 했다. 아담은 하와가 속은 대로 거기에 얽힌다. 아담은 사탄이 아닌 아내의 유혹에 넘어간 것이다. 아담은 아내가 주는 과일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겠지만, 아내의 뜻을 따르기 위해 정한 법을 어겼다. 그는 아내의 죽음에 대한 걱정으로 아내와 똑같이 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하와는 속았고, 아담은 죄를 선택한 것이다.

칼빈은 그들의 죄가 무엇이었는지 묻는다. 그것은 식욕에 대한 것이 아니었다. 칼빈은 어거스틴이 그 악의 시작이 자만심에서 나왔다고 한 것에 동의한다. 칼빈은 좀 더 상세하게, 죄는 하와의 말씀에 대한 불신으로 시작되었고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지 않을 때, 그에 대한 모든 경외가 흔들리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하나님은 두 사람 다 모든 일에서 자유롭게 하시고, 그들을 창조 세계의 왕으로 세우고, 한 나무에만 금욕을 요구하시며 하나님 사랑에 대해 복종하게 하셨지만, 그들은 그것을 거부했다. 그것은 하나님 앞에 무례한 것이었다.

사실, 그들을 향한 가장 큰 구속은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생각이었다. 즉,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으며, 그에게 사랑을 받는 것은 행복한 삶의 완성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그들은 사탄의 신성모독에 그 생각의 자리를 내주었고, 사탄의 노예가 되어 이성과 판단력을 잃기 시작했다. 칼빈은 본 절을 주석하면서 타락 이전과 이후의 아담과 하와의 상태, 특별히 아담의 무흠성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그 죄가 무엇인지, 어떤 종류의 것이었는지를 더 강조한다.

 

4. 생물의 죽음 - 창2:17

 

칼빈은 본 절을 주석하면서 본문에서 나오는 죽음이 어떤 죽음인지에 집중한다. 칼빈은 타락 전 아담에게 죽음이 있었지만, 그는 모든 면에 완벽하고 행복했기에 그가 거기에 두려움을 느끼지 못했다고 이야기한다. 타락이 없었다면 그의 세속적 삶은 잠시였을 것이고 죽음의 두려움 없이 내세로 옮겨졌을 것이다. 그러나 타락 후 죽음은 아담을 비롯해 우리에게 두려움으로 다가오게 되었고 우리는 금세에서 내세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하나님의 저주를 떠올리며 괴로움을 느끼게 된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아담은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했던 과일을 먹는 동시에 죽음을 맛보았다. 아담은 하나님께 반란을 벌이고 곧바로 하나님과 관계에서 소외되었다. 이것이 칼빈이 말하는 타락으로 인핸 죽음의 본질이다. 아담은 타락과 함께 죽음이라는 이름 아래 그의 결점에 관련된 비참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칼빈은 아담의 타락 이전에 창조 세계에 어떤 형태로든 아무런 죽음이 없었을 것이라고 추측하지 않는다. 오히려 죄를 통해 그 의미가 변해버린 육체적 죽음에 대해 집중한다.

 

5. 6일 창조의 완벽성 - 창2:2

 

모세는 하나님의 창조가 6일 동안에 완성되었다고 요약한다. 모세는 온 집안에 그 가구가 가득 차 있는 것처럼, 이 세상이 모든 의미에서 완성되었다고 선언한다. 하나님께서 6일 동안의 창조 사역 후 7일째 쉬셨다는 것은 6일의 사역으로 하나님이 쉬어야할 필요가 생긴 것이 아니라 오히려 창조 사역이 더 손 델 필요가 없이 완벽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칼빈은 창세기 주석에서 하나님이 6일 동안에 천지를 창조하신 것은 우리를 위한 것이었다고 말한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의 창조 사역을 더 쉽게 묵상할 수 있도록 하셨다. 즉 우리가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더 쉽게 묵상할 수 있도록 하나님은 6일 창조를 섭리 하셨다.

 

6.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피조세계의 죄 - 창3:18-19

 

칼빈은 본문을 주석하면서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땅은 전과 달리 완벽한 열매를 맺지 못하고, 그 풍요로움을 잃고, 악한 짐승과 해로운 식물을 내게 되었다고 한다. 칼빈에게 있어서 세상의 어떤 기형이 있다고 말할 때, 그것이 하나님의 손보다 인간의 죄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그것을 자연의 섭리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알 수 있듯이, 어떤 불건전한 것들이라도 생성될 수 있는 것은 죄에서 비롯되는 부패이다. 사람이 타락하지 않았다면 영혼이 몸에서 분리되지 않았고, 부패가 없고, 파괴가 없으며, 간단히 말해서, 폭력적인 변화가 없었을 것이다.

인간은 고된 노동으로 피로가 가득 차게 되고 그 어려움은 땀을 배출하게 한다. 아담의 죄로 창조 세계는 물론 인간 자신의 삶도 곧 비참해졌다. 여기에서 노동은 각 사람에게 지워질 노동이 아닌, 한 개인의 몸 전체가 당하게 될 노동을 말한다. 하나님의 은혜, 특별히 그 은혜의 최고인 그리스도를 통해 타락으로 오렴된 노동은 타락에 대한 저주뿐만 아니라 삶의 선한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얻게 된다.

 

7. 칼빈의 창조 인식

 

칼빈의 창세기 1-3장 주석의 내용에 따르면 하나님의 창조의 섭리는 의심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역사성도 부인할 수 없다. 창조 섭리의 증거는 하늘과 땅에 무수히 많다. 하나님은 이를 천문학, 의학, 자연 과학 등 전문 분야의 종사자뿐 아니라 학식이 없고 무지한 사람들도 눈만 뜨면 볼 수 있도록 하셨다. 창조의 순서에 있어서도 칼빈은 하나님의 인간을 향하신 사랑의 섭리를 이야기한다. 하나님은 인간 창조에 앞서 인간의 필요를 먼저 세상에 채우셨고, 구원의 길도 열어 두셨다.

칼빈은 어거스틴 교의학에서 말하는 “무에서의 창조”, “시간과 함께 창조”, “하나님의 영광과 인류의 행복과 교육” 등을 다 포함하면서도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감사와 경외를 말함으로써 신앙적 유익을 도모하고 있다. 칼빈은 자연계시가 하나님을 창조주로 증거하며, 바로 그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의 구속자라는 특별계시를 통해 우리의 신앙을 강화하고 감사와 찬양이 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칼빈에게 있어서 자연계시와 특별계시는 서로 충돌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계시를 통해 특별계시가 더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죄로 인하여 이러한 자연의 본연의 역할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자연에 있는 하나님의 존재의 증거와 능력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은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하나님을 알 수 있는 종교의 씨앗을 심어 주셨고 우주의 전 창조를 통하여 모든 사람에게 자신을 계시하셨다.

 

V. 칼빈의 창세기 주석 관점에서 본 선언서

 

종합해 보면 칼빈은 창세기 1-3장에 나타난 창조의 섭리를 이야기하면서 우리에게 신앙적으로 유익한 진리를 가르치려고 한다. 칼빈이 의도한 신앙적 유익이란 하나님이 모든 일에 우리의 구원을 정해놓으셨다는 사실을 아는 것, 또 우리가 하나님의 큰 자비, 권능, 은혜를 느끼고 각성해 하나님을 신뢰, 찬송, 사랑하게 하는 것이다.

위 본 선언문은 앞서 밝힌 것처럼 ‘진화론’, ‘유신진화론’, ‘선아담인류론’과 그 사조에 대해 반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들이 반대하는 이론들은 동일한 것이 아니지만, 공통적으로 지구의 오랜 역사를 가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앞서 본 선언문은 지구의 오랜 역사를 부정하고 젊은 지구론을 지지하는 것이다. ‘진화론’과 ‘유신진화론’에는 성경적 근거가 없거나 약하고, 학문적으로도 약점이 많고 논리적 근거가 허술하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발견되는 여러 과학적 증거를 부정하는 일은 손으로 해를 가리는 격이다.

앞에서 본 선언문으로 우리는 한국 보수 기독교계가 신학과 과학을 서로 충돌 내지는 반대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선언문은 마치 현대 과학과 신학의 ‘절교문’ 처럼 읽힌다. 오늘날 사회, 문화, 과학과 자연 인식에 오히려 한 발짝 더 뒤로 물러선 격이다. 칼빈의 개혁이 성공적이었던 것은 그의 개혁사상이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었다는데 이견이 없을 것이다. 또 그의 창세기 주석에서 자연계시와 특별계시의 충돌을 이야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연계시를 통해 특별계시가 더 특별해짐을 강조하고 있다. 개혁주의 신학은 자신들의 이해를 넘어서는 자연계시의 전문 영역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게 발전하고, 발견되는 자연계시를 바라보며 칼빈처럼 그것이 어떻게 특별계시를 빛나게 할 것인가, 또 그것으로 성도들의 신앙적 유익을 어떻게 도모할 것인가 하는 깊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선언문은 기독교 과학자들, 혹은 과학 전문가들이 아니라 신학교수들에 의해 작성되었다. 그것이 과학 전문가나, 인류학에 깊은 조예가 있는 사람에 의해 작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선언문의 성격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그것은 현재 한국 개혁주의 신학 진영의 색(오랜 지구론)을 분명히 하고 그들의 견해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선언문이 칼빈이 의도했던 성도의 신앙에 진정한 유익이 되었는가를 생각해 봐야한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새롭게 발견되는 자연계시를 접하면서 고민하는 성도들에게 오히려 덮어 놓고 믿으라는 흑백논리만을 제공하지는 않았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종교개혁가들이 그렇게 개혁하고자 했던 중세 교회의 종교적 오류가 아닌가?

이러한 면에서 칼빈은 오히려 정직하다고 하겠다. 칼빈의 신학은 상반성, 모호성, 혹은 복합성으로 인하여 그의 자연관과 자연신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다. 다시 말해 칼빈은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성경 이외의 자연계시에 대해서 열려있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칼빈주의 신학으로 현대의 과학을 무조건 비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칼빈은 자연계시를 무조건 부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언제라도 그 연구에 따라 밝혀지는 자연의 섭리는 칼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섭리이다. 칼빈이 창세기 1-3장에서 집중하는 교훈은 과학에 대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성경이 그것을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자의 그 의도가 분명한데, 그 안의 작은 주제로 신앙과 이념을 점검하는 표로 사용하기 어렵다.

 

VI. 참고문헌

 

권호덕, “한국교회에 대한 칼빈 신학의 기여,”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 제 27권

김영한, “한국교회의 칼빈주의 수용-예정론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 제27권

대한민국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검색 ‘전곡리 구석기’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1333102680000

박해경, <챠트로 본 조직신학>(서울: 아가페문화사, 1993)

박해경, “칼빈의 자연계시론,” <창조론오픈포럼>, 7(1) (2013)

박해경, “칼빈의 창조론,” <창조론오픈포럼>, 2(1) (2008)

안명준, “거룩한 말씀의 도움 없인 하나님께 다가갈 수 없다: 칼빈의 성경관,” <한국기독공보>, 2009. 07. 08

안명준, “칼빈의 신학적 해석학: 간결성과 용이성의 방법론,”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 제 7권

“장 칼뱅의 성경관,” <위키피디아>

조병수, “<기독교강요>(최종판 1559년)에서 칼빈의 성경 사용(1권 1장의 사례),” <신학정론>, 27(1) (2009)

존 칼빈, 원광연, <기독교강요> (상)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서울, 2003)

존 칼빈, 원광연, <기독교강요> (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서울, 2003)

John Calvin, <Commentary on Genesis> - Volume 1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1999)

<교회개혁신보> - http://repress.kr/9251/기독교개혁신보 2018.11.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