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신문]무더위를 피하며 독서삼매경에 빠지는 것은 방학을 알차게 보내는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무슨 책을 어떻게 읽을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연령과 학년에 따라 적절한 책을 선택하고 정독을 해서 독후감을 써 보아 책을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독서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전문가들로부터 바람직한 독서 요령을 들어봤다.
방학은 바람직한 독서 태도를 잡아주고 책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아이의 연령이나 수준에 맞게 재미있으면서도 유익한 책을 골라 줘서 즐겁게 책을 읽는 습관을 붙여주도록 하자. 서울 상신중 주혜정 국어교사는 “유명 작가의 작품 위주로 어려운 책을 읽히려고 하기보다는 문학, 예술, 철학 등 수준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접하는 것이 지식과 감성을 균형있게 키워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령별 발달에 따른 독서 지도
아이에게 맞는 책을 골라주려면 연령 및 발달 단계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일반적으로 4∼5세부터 어른이 읽어주는 그림책을 보면서 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처음 책을 접하는 것은 태어나 ‘말의 세계’에만 살다 ‘글의 세계’로 들어가는 신비한 경험이다. 단순 개념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단순하고 구조화된 줄거리로 상상력을 키워주는 것이 좋다.
6∼7세에는 단순·반복 구조의 그림책을 읽으며 자신감을 갖는 시기다. 이 시기의 독서 경험이 이후 독서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독서에 취미를 붙이도록 해 주어야 한다.8∼9세에는 책 속에서 환상과 꿈을 키우며 지혜를 얻기 시작한다. 이때부터는 혼자서 책을 읽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어느 분야에 흥미를 느끼는지 알아낸 다음, 관심있는 분야의 책으로 시작해 흥미를 갖도록 유도한다. 좋아하는 책이라면 여러 번 읽는 것도 어휘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10∼11세에는 역사와 위인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며 독서의 폭을 넓히는 시기이다. 현실과 공상을 구별할 줄 알게 되기 때문에 자신의 주변 생활을 그린 동화나, 현실을 초월한 상상의 이야기에도 흥미가 커진다.12∼13세 이후에는 감정이 성숙되고 지식과 논리력이 비약적으로 확장된다. 그만큼 독서 속도나 독해력에 개인차가 많이 벌어지기 때문에 이를 잘 파악해 지도해야 한다.
●방학 땐 독서태도·흥미 키워주기
방학을 맞아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는 독서에 임하는 태도와 흥미를 지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독서 자체를 가르치려 하지 말고 독서가 재미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 상상력을 키워주기에는 ‘동물 아빠들(마루벌)’‘투명인간이 된 스탠리(시공주니어)’ 등이,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려면 ‘개구리 논으로 오세요(돌베개어린이)’‘그런데요, 생태계가 뭐예요?(토토북)’ 등이 적당하다. 나이팅게일이나 링컨의 어린이용 전기도 교훈과 감동을 준다. 책을 읽고 엄마에게 내용을 얘기하는 등 부담을 주지 않는 간단한 독서후 활동은 필수다.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넘어가면서는 150∼300쪽 분량으로 책의 두께가 늘어나기 때문에 끈기 있게 끝까지 읽어내는 습관을 들여줘야 한다.‘고래는 왜 바다로 갔을까(창비)’‘강따라 역사따라(두산동아)’‘가마솥과 뚝배기에 담긴 우리 음식 이야기(해와나무)’ 등 다양한 정보를 담은 책을 두루 읽도록 한다.6학년 정도는 ‘토머스 모어가 상상한 꿈의 나라 유토피아(파란자전거)’‘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다림)’‘15소년 표류기(다림)’ 등 유명 작품도 읽어볼 만하다. 사춘기의 시작인 만큼 ‘열한살, 열두살의 궁금증(다섯수레)’이나 ‘교과서와 함께 읽는 명언(효리원)’ 등도 권할 만 하다. 책을 읽은 뒤에는 책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중·고등학교 단계에서는 본격적인 학습 독서를 시작하며, 읽으면서 초점을 잡아내는 연습이 중요하다. 그날 읽은 부분에서 핵심이 무엇인지를 찾고, 전체의 줄거리 요약보다는 부분마다 이슈를 찾아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연습이 효과적이다. 학습에 대한 부담으로 책 읽을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엄선된 책을 일정량씩 꾸준히 읽도록 마음의 여유를 찾아주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하며 읽어야…‘속독’은 도움 안돼
전문가들은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는 생각하며 읽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애 삼육대 독서담당 주임교수는 “독서가 중요하다 하니 다독에 욕심을 내 속독학원을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빨리만 읽는 것은 진정한 독서라 할 수 없다.”면서 “한 권을 읽더라도 정독해서 끝까지 읽은 뒤 정보와 감상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말·글·삶 학원 원자경 원장은 “최근 3∼4년 사이 학생들의 독서량은 크게 늘었지만 사고력은 오히려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필독서 목록이 지나치게 어려운 명작 위주로 돼 있어 이해도 하지 못하면서 피상적인 글읽기에 그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원 원장은 “학생의 독해능력으로 80%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약간 어려운 수준의 책을 골라 정독하고, 주제를 끄집어 내거나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해야만 성취감과 사고력, 언어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효용기자 utility@seoul.co.kr
■ 도움말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반응형
'독 서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문장교수 "한국인이 영어 못하는 이유" (0) | 2007.02.26 |
---|---|
[스크랩] 고전 읽기 - J . G 프레이저 "황금가지" (0) | 2007.01.12 |
수학공부를 잘하려면.... (0) | 2006.10.09 |
글짓기 학습의 중요성 (0) | 2006.10.09 |
공부가 힘들 때 가슴에 새겨야 할 글 (0) | 200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