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도성 읽기(4) 1권 16-28. 자살은 살인죄다.
I권 16절. 아우구스티누스는 전쟁에서 부녀자들이 성폭행되었을 때에, 기독교는 정결의 상태로 평가하지 않고 교제와 위로의 문제 더 관심을 갖도록 했다. 불가항력적 피해에서는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러한 상태에서 수치심을 야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7절. 아우구스티누스는 처녀들이 이러한 불명예를 씻기 위해서 자살을 선택하는 것을 죄를 모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죄를 더하는 것으로 제시했다. 또한 범죄 앞에서 범죄를 피하기 위해서 자살을 하는 것은, 죄인이 죄를 범하지 못하도록 도와주며 자신이 더 큰 죄를 뒤집어쓰는 것이다.
18절.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덕목은 모든 “악을 참아내는 인내”에 있다. 비록 육체의 순결이 짓밟혔을지라도 정신적 순결이 유지된다면, 육체의 순결이 잃지 않았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절. 로마의 귀부인인 루크레티아의 자살이 칭송되는 것은 아이러니한 것이다. 로마법에서 아무리 중죄인이라 할지라도 재판 없이 처형되는 것은 불법이다. 그런데 루크레티아는 스스로 판단하여 자신을 살해했는데 칭찬을 받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그리스도인 여인들은 루크레티아와 같은 일을 당했지만, 동일한 결정은 하지 않았다. 그들은 영혼 안에, 양신의 정결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20절. 자살은 살인의 한 유형이므로, 계명을 지켜야 한다.
21절. 사람이 사람을 죽여도 살인이 되지 않은 경우는, 사람에게 부여된 특수한 명령에 의한 행동이다. 위임된 상태에서 실행한 행위는 죽음에 대해서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 그 행동은 범죄가 아니라 순종이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사사기의 입다가 실제로 자신의 딸을 제물로 드린 것으로 해석하며, 정당한 살해로 본다.
22절. 자살이 정신력의 강함의 증거가 되지는 않는다(견유학파는 자살을 인정함). 오히려 불행을 참음은 것이 더 큰 정신력이다.
23절. 케사르에 패배한 카토는 자살하면서, 자신의 아들은 살려주어 일관성을 잃었다
24절. 욥은 고난을 참으려고 했다. 레굴루스는 카토와 달리 카르타고의 포로가 되어 견뎌, 로마의 영웅이 되었다. 또 대승리 후에도 검소한 생활로 타락의 길에 서지 않았다.
25절. 육체가 죄에 굴복되었을 때에, 또 장래에 일어날 죄를 피하기 위한 자살도 얼마나 어리석은 행동인가? 그리스도인은 오직 하나님만 믿고 소망하며 의지해야 한다.
26,27절. 자살은 창조주의 명령을 어긴 것으로, 어떤 형태도 자살은 허락되지 않는다
28절. 폭도의 만행이 허락되어도 심판은 피할 수 없다. 교만에 구원은 없다(고전6:9)
'정통신학&개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종교개혁사 (0) | 2018.12.03 |
---|---|
스코틀란드 개혁교회의 예배와 성찬 (0) | 2015.08.30 |
하나님의 도성 읽기(1) 하나님의 도성을 읽기 시작하면서... (0) | 2014.01.05 |
1. 제2 스위스신앙고백서와 불링거(Heinrich Bullinger) (0) | 2013.07.27 |
2. 제네바 요리문답과 칼빈(Calvin) (0) | 201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