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신학(theologia archetype)과 모형신학(theologia ectypa)
원형신학(Archetypal Theology)과 모형신학(Ectypal Theology)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신학자는 프란시스 주니우스(Franciscus Junius the Elder, 1545-1602)이다. 프랑스 출신의 개혁파 신학자인 주니우스는 그의 주요 저서 《참 신학에 대해서》(De Vera Theologia)에서 이 두 가지 개념을 제시하며 신학적 지식의 근원을 구분했다. 주니우스는 제네바에서 칼빈 아래에서 수학했으며, 유럽의 교회들에서 목회했고, 하이델베르크와 라이덴의 신학 교육 기관에서 사역했다. 주니우스가 제안한 개념화 작업은 후기 개혁파 스콜라주의의 기본적 개념이다(foundational text in Reformed scholasticism).
유니우스 이전에도 신학적 인식의 차이, 즉 하나님의 자기 인식(신적 지식)과 인간의 신학적 인식(피조물의 지식)에 대한 구분은 중세 스콜라 신학자들(예: 둔스 스코투스)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theologia archetypa'와 'theologia ectypa'라는 용어와 체계를 명확히 정립한 것은 유니우스이다.
- 원형 신학 (Archetypal Theology): 이는 하나님 자신의 완전하고 무한한 지식으로서의 신학을 의미힌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며, 그의 지식은 창조되지 않고 영원하며 완전하다. 인간은 결코 이 원형 신학을 완전히 파악할 수 없다.
- 모형 신학 (Ectypal Theology): 이는 창조된 존재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지식으로서의 신학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과 자신의 뜻을 계시하셨다. 성경, 자연, 인간의 이성 등을 통해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나마 하나님의 지식을 알 수 있다. 이 모형 신학은 원형 신학의 반영이자 그림자라고 할 수 있다.
1590년 이후 개혁파 전통주의의 조직의 개념에 하나님의 자신과 사역에 대한 지식인 원형신학(theologia archetype)과 하나님과 그의 사역에 대한 피조물의 지식인 모형 신학(theologia ectypa) 사이의 구별이 시작했다. 모형 신학(Theologia Ectypa)에서 연합 신학(Theologia Unionis), 비전의 신학(Theologia Visionis), 순례자의 신학(Theologia Viatorum)이라는 삼중적인 구별이 등장했는데, 프란시스 주니우스이다. Theologia Unionis ← 예수 그리스도, Theologia Visionis ← 천국 성도, 천사, theologia Viatorum ← 지상 성도, * Theologia Angelica (천사들의 신학)은 Visionis와 유사한 수준이다.
순례하는 신자(viator)와 하늘에서 복 받은 자(beati) 사이, 전투하는 교회와 승리한 교회 사이, 이 세상에서 신자들에게 주어지는 은혜의 빛(lunen gratiae)과 이후의 삶에서 주어지는 영광의 빛(lunen gloriae) 사이의 전통적인 구별을 반영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님의 원형과 다양한 일시적 모형들 사이의 구별에서, 하나님 자신에 대한 지식과 사람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사이의 관계와 구별을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Muller, r종교개혁 후 개혁주의교의학], 172.
'형람서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 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 (0) | 2025.05.10 |
---|---|
"그리스도인"이라 칭함을 받음(사도행전 11:25-26) (0) | 2025.05.07 |
Notitia와 Cognitio (0) | 2025.05.03 |
사람이 과거를 아름답게 말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불안을 말하는 것이다. (0) | 2025.05.02 |
삼위일체론은 삼위일체 교리가 아니다.The Trinity is not the Trinitarianism.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