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독교강요를 이해하기 위한 구조들
강요의 구조
구성의 원칙이 삼위일체적이다.
이것은 사도신경의 체계를 따른것이며,
루터의 소요리문답를 따른 형태이다.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 관계를 강조(1.1)
하나님은 우리와 관계해서 어떤 분이신가를 다룬다.
교리와 윤리의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경건신학
자신의 신학을 개인적이며 경건과 관련된 것으로 만든다.
강요에 나타난 철학
아리스토텔레스보다는 플라톤적이다.
수평적보다는 수직적이다. 필립 홀트롭은 “플라톤은 직접 경험과 직관으로.
그리고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 하나님 안에 참여함으로써 지식을 얻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칼빈이 강요를 시작하는 방식- 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우리 자신에 관한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에서 이미 플라톤적 관점을 엿 볼수 있다.“
칼빈의 사고는 항상 그러한 교리, 즉 하나님과 인간은 모두 영적실재이지만(1.12.3), 하나님은 무한한 영적 실재이고 인간은 유한한 영적 실재라는 교리로 귀결된다. 칼빈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이러한 동질성을 중시한다(신적 존엄을 지닌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을 강조). 플라톤의 사고영역 전체가 그의 목적에 유용하다(참여, 조명, 중재, 성령의 감동 등의 개념).(필립 홀트롭, 기독교강요핸드북, 25)
예를들면
finitum non capax infiniti.
특히 플라톤의 신개념은 칼빈의 신 개념 설명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어거스틴의 영향으로 볼수 있다.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nanae Religions)
인간을 강조). 여기서 강요라는 말은 법학의 용어로서 Gaius 가 법학강요(Institutiones)를 썼다. 후에 교부 Lactantius, Ambrosius는 신학논문의 제목에 이 말을 사용한다. 심지어 Bernard of Clairvaux도 사용, Cassianus의 경우 인스티투티오라는 제목이 신앙 생활의 규율과 구체적인 계율, 그리고 개인의 후년을 가르킨다. (필립, 28) 따라서 법학도였던 칼빈은 이 용어를 잘 알고 하나님의 말씀을 핵심을 요약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안내서이다.
Erasmus(Institutio principis christiani, 1516), Bude 는 이상적 군주를 양육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인스티투티오의 개념은 그런 인물을 키워낼 교육과 훈련을 가리켰다. 이 사실에서 칼빈도 이 말의 사용을 통하여 기독교로 하여금 사회 안에서 발전하도록 돕는 교육과 훈련하는 암시가 있다고 본다(필, 29). 이것은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칼빈이 당시 프란시스 왕에게 강요를 헌사한 점에서 나타난다. 루터(LC의 서문, 1529)나 멜랑히톤(Theologica institutio in Epistolam Pauli ad Romanus, 1519)도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강요의 목적
칼빈은 “It has been my purpose in this labor to prepare and instruct candidates in sacred theology for the reading of the divine Word, in order that they may be able both to have easy access to it and to advance in it without stumbling. For I believe I have so embraced the sum of religion in all its parts. and have arranged it, it will not be difficult for him to determine what he ought especially to seek in Scripture, and to what end he ought to relate its contents. If, after this road has, as it were, been paved, I shall publish any interpretations of Scripture, I shall always condense them, because I shall have no need to undertake long doctrinal discussions, and to digress into commonplaces. In this way the godly reader will be spared great annoyance and boredom, provided the approach Scripture armed with a knowledge of the present work, as a necessary tool. (Inst. Geneva, 1559)
결국 성경을 잘 이해하기 위한 입문서.
그리스도인의 영적 성장을 돕는 훈련 지침서이다.
칼빈의 실천적 모습을 본다.
기독교강요의 사상적 배경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여러 사상들에 대한 연구
기독교강요의 사상적배경
첫째, Sola Scriptura 다른 어떤 개혁가 보다도 구약성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성경해석에도 나타난다. 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 성경관에 있어서 쯔빙글리에 영향을 받은 것.
둘째, 초대 교회의 교부들과 초기 교회 공의회들 그리고 철학자들의 많은 저서들에서 그 원천을 찾을 수 있다. 칼빈은 그의 기독교강요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미스티우스(Themistius), 키케로 뿐만 아니라 존 크리소스톰, 오리겐(Origen), 어거스틴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인용하였다. 초기에 칼빈은 그리이스 교부들 중에서 크리소스톰을 특히 선호한 것처럼 보이며, 점차 어거스틴의 영향이 증대하였다. 특히, 교리에 관한 문제는 전적으로 어거스틴에게서 인용하였다. 신의 도성(De Clementia에서 이미 영향받음), 자유의지와 성례전, 은혜론과 예정론에 영향을 받음,
사도신경의 순서를 따랐다고 칼빈은 1559년 판에 말한다. 구속의 주요한 요점들을 간략하고 분명하게 다루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셋째, 스콜라 신학자들의 영향 롬바르트, 아퀴나스, 던스 스코투스, 오캄, Nomina post res (유명론- 보편의 실재성을 부정하는 입장으로서, 보편은 "물 뒤에 있는 이름"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 universalia의 실재성 부정하고 개체강조)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칼빈의 견해는 중세의 일부 사상에 보다 밀접해 있다.(어떤 신학자는 그 근거를 로마법의 영향이라고 보기도 한다.)
네째, 인문주의자들과 개혁가들에게 영향. 칼빈이 영향받은 인문주의자들로는 발라(Valla), 에라스무스(Erasmus), 부데(Bude)등이 있으며, 이들은 칼빈의 해석학에 많은 영향을 주엇다.
Cf. Myung Jun Ahn, "The Influences on Calvn's Hermeneutical Development of His Method," Hervormde Teologiese Studes, 55, 1999.
그들과 칼빈의 차이점
개혁자들에게 영향을 받음 루터- 1536판 강요는 루터 소요리문답에서 영향을 받음, 기독교교리를 일치, 차이점은 공재설, 성경의 정경성, 예정, 교회, 기독론
멜랑톤- 기독론, 반대- 자유의지와 예정교리는 반대
부처- 1538-41사이 영향을 스트라스부그에서 실제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영향을 받음, 구원과 예정, 하나님의 나라개념, 경건의 강조,
칼빈이 기독교와 강요와 후기 개혁신학의 특징의 차이점을 비교
삼위일체 loci method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관계 하나님의 주권강조 윤리과 경건강조 딱딱한 교리적 신학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원론 현실 역사의 실재성강조 . . . . . . . .
기독교 강요의 구조와 신학적 특징들
강요의 구조를 이해를 위하여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책 중에 하나로서 강요는 1536년 6 장으로 시작되었으나 1559년에는 80 장으로 개정되고 증보되었다. 최종판의 영어 판은 1561년 번역되었다. 칼빈을 이해하려면 강요를 이해해야 한다고 한다. 강요는 그의 문학적 성격을 비롯한, 그의 신학의 심오한 깊이와 논리 그리고 명료하고 간결한 형태로 작성되었다. 이런 명료성과 간결성은 그의 로마서 강해(1640)를 시작으로 그의 성경을 다룬 모든 작품에서 그의 신학적 해석학의 근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본인 논문 Brevitas et Facilitas: A Study of A Vital Aspect in the Theological Hermeneutics of John Calvin (UP, 1997), Cf. 칼빈의 성경 해석학(1997).
초판은 사도신경의 구조를 따라서 구성되었다고 본다. 이런 구성에 대하여 웬델과 스파이제커, 멕닐은 강요가 루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초판은 요리문답서의 틀을 취하였다.
율법, 믿음. 기도에 관한 처음 3 장들은 루터의 소요리 문답(1529)과 대요리 문답에 근거하였으며, 4 장 성례와 5 장 거짓 성례는 루터의 교회의 바벨론 유수(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1520)에서 본 뜻 것이며, 6 장은 인간의 자유에 관한 루터의 사상을 발전시켰다고 본다.(Jeremiah J. Smith, CE)
칼빈의 강요에 대한 이해는 최종판에서 가장 설득력을 얻는다.
신학적 구조에 대한 칼빈의 만족은 그의 최종판에서 나타난다.
Ioannes Calvinus Lectori
"nunquam tamen mihi satisfeci, donec in hunc ordinem qui nume proponitur digestum fuit."(yet I never satisfied myself, till it was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it is now published) 한국어 번역에 있어서 “설명된“ 이란 말은 출판된 으로 고쳐야 한다
강요의 구조
구성의 원칙이 삼위일체적이다.
이것은 사도신경의 체계를 따른것이며,
루터의 소요리문답를 따른 형태이다.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 관계를 강조(1.1)
하나님은 우리와 관계해서 어떤 분이신가를 다룬다.
교리와 윤리의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경건신학
자신의 신학을 개인적이며 경건과 관련된 것으로 만든다.
강요에 나타난 철학
아리스토텔레스보다는 플라톤적이다.
수평적보다는 수직적이다. 필립 홀트롭은 “플라톤은 직접 경험과 직관으로.
그리고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 하나님 안에 참여함으로써 지식을 얻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칼빈이 강요를 시작하는 방식- 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우리 자신에 관한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에서 이미 플라톤적 관점을 엿 볼수 있다.“
칼빈의 사고는 항상 그러한 교리, 즉 하나님과 인간은 모두 영적실재이지만(1.12.3), 하나님은 무한한 영적 실재이고 인간은 유한한 영적 실재라는 교리로 귀결된다. 칼빈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이러한 동질성을 중시한다(신적 존엄을 지닌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을 강조). 플라톤의 사고영역 전체가 그의 목적에 유용하다(참여, 조명, 중재, 성령의 감동 등의 개념).(필립 홀트롭, 기독교강요핸드북, 25)
예를들면
finitum non capax infiniti.
특히 플라톤의 신개념은 칼빈의 신 개념 설명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어거스틴의 영향으로 볼수 있다.
기독교강요(Institutio Christinanae Religions)
인간을 강조). 여기서 강요라는 말은 법학의 용어로서 Gaius 가 법학강요(Institutiones)를 썼다. 후에 교부 Lactantius, Ambrosius는 신학논문의 제목에 이 말을 사용한다. 심지어 Bernard of Clairvaux도 사용, Cassianus의 경우 인스티투티오라는 제목이 신앙 생활의 규율과 구체적인 계율, 그리고 개인의 후년을 가르킨다. (필립, 28) 따라서 법학도였던 칼빈은 이 용어를 잘 알고 하나님의 말씀을 핵심을 요약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안내서이다.
Erasmus(Institutio principis christiani, 1516), Bude 는 이상적 군주를 양육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인스티투티오의 개념은 그런 인물을 키워낼 교육과 훈련을 가리켰다. 이 사실에서 칼빈도 이 말의 사용을 통하여 기독교로 하여금 사회 안에서 발전하도록 돕는 교육과 훈련하는 암시가 있다고 본다(필, 29). 이것은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칼빈이 당시 프란시스 왕에게 강요를 헌사한 점에서 나타난다. 루터(LC의 서문, 1529)나 멜랑히톤(Theologica institutio in Epistolam Pauli ad Romanus, 1519)도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강요의 목적
칼빈은 “It has been my purpose in this labor to prepare and instruct candidates in sacred theology for the reading of the divine Word, in order that they may be able both to have easy access to it and to advance in it without stumbling. For I believe I have so embraced the sum of religion in all its parts. and have arranged it, it will not be difficult for him to determine what he ought especially to seek in Scripture, and to what end he ought to relate its contents. If, after this road has, as it were, been paved, I shall publish any interpretations of Scripture, I shall always condense them, because I shall have no need to undertake long doctrinal discussions, and to digress into commonplaces. In this way the godly reader will be spared great annoyance and boredom, provided the approach Scripture armed with a knowledge of the present work, as a necessary tool. (Inst. Geneva, 1559)
결국 성경을 잘 이해하기 위한 입문서.
그리스도인의 영적 성장을 돕는 훈련 지침서이다.
칼빈의 실천적 모습을 본다.
기독교강요의 사상적 배경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여러 사상들에 대한 연구
기독교강요의 사상적배경
첫째, Sola Scriptura 다른 어떤 개혁가 보다도 구약성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성경해석에도 나타난다. 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 성경관에 있어서 쯔빙글리에 영향을 받은 것.
둘째, 초대 교회의 교부들과 초기 교회 공의회들 그리고 철학자들의 많은 저서들에서 그 원천을 찾을 수 있다. 칼빈은 그의 기독교강요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미스티우스(Themistius), 키케로 뿐만 아니라 존 크리소스톰, 오리겐(Origen), 어거스틴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인용하였다. 초기에 칼빈은 그리이스 교부들 중에서 크리소스톰을 특히 선호한 것처럼 보이며, 점차 어거스틴의 영향이 증대하였다. 특히, 교리에 관한 문제는 전적으로 어거스틴에게서 인용하였다. 신의 도성(De Clementia에서 이미 영향받음), 자유의지와 성례전, 은혜론과 예정론에 영향을 받음,
사도신경의 순서를 따랐다고 칼빈은 1559년 판에 말한다. 구속의 주요한 요점들을 간략하고 분명하게 다루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셋째, 스콜라 신학자들의 영향 롬바르트, 아퀴나스, 던스 스코투스, 오캄, Nomina post res (유명론- 보편의 실재성을 부정하는 입장으로서, 보편은 "물 뒤에 있는 이름"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 universalia의 실재성 부정하고 개체강조)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칼빈의 견해는 중세의 일부 사상에 보다 밀접해 있다.(어떤 신학자는 그 근거를 로마법의 영향이라고 보기도 한다.)
네째, 인문주의자들과 개혁가들에게 영향. 칼빈이 영향받은 인문주의자들로는 발라(Valla), 에라스무스(Erasmus), 부데(Bude)등이 있으며, 이들은 칼빈의 해석학에 많은 영향을 주엇다.
Cf. Myung Jun Ahn, "The Influences on Calvn's Hermeneutical Development of His Method," Hervormde Teologiese Studes, 55, 1999.
그들과 칼빈의 차이점
개혁자들에게 영향을 받음 루터- 1536판 강요는 루터 소요리문답에서 영향을 받음, 기독교교리를 일치, 차이점은 공재설, 성경의 정경성, 예정, 교회, 기독론
멜랑톤- 기독론, 반대- 자유의지와 예정교리는 반대
부처- 1538-41사이 영향을 스트라스부그에서 실제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영향을 받음, 구원과 예정, 하나님의 나라개념, 경건의 강조,
칼빈이 기독교와 강요와 후기 개혁신학의 특징의 차이점을 비교
삼위일체 loci method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관계 하나님의 주권강조 윤리과 경건강조 딱딱한 교리적 신학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원론 현실 역사의 실재성강조 . . . . . . . .
기독교 강요의 구조와 신학적 특징들
강요의 구조를 이해를 위하여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책 중에 하나로서 강요는 1536년 6 장으로 시작되었으나 1559년에는 80 장으로 개정되고 증보되었다. 최종판의 영어 판은 1561년 번역되었다. 칼빈을 이해하려면 강요를 이해해야 한다고 한다. 강요는 그의 문학적 성격을 비롯한, 그의 신학의 심오한 깊이와 논리 그리고 명료하고 간결한 형태로 작성되었다. 이런 명료성과 간결성은 그의 로마서 강해(1640)를 시작으로 그의 성경을 다룬 모든 작품에서 그의 신학적 해석학의 근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본인 논문 Brevitas et Facilitas: A Study of A Vital Aspect in the Theological Hermeneutics of John Calvin (UP, 1997), Cf. 칼빈의 성경 해석학(1997).
초판은 사도신경의 구조를 따라서 구성되었다고 본다. 이런 구성에 대하여 웬델과 스파이제커, 멕닐은 강요가 루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초판은 요리문답서의 틀을 취하였다.
율법, 믿음. 기도에 관한 처음 3 장들은 루터의 소요리 문답(1529)과 대요리 문답에 근거하였으며, 4 장 성례와 5 장 거짓 성례는 루터의 교회의 바벨론 유수(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1520)에서 본 뜻 것이며, 6 장은 인간의 자유에 관한 루터의 사상을 발전시켰다고 본다.(Jeremiah J. Smith, CE)
칼빈의 강요에 대한 이해는 최종판에서 가장 설득력을 얻는다.
신학적 구조에 대한 칼빈의 만족은 그의 최종판에서 나타난다.
Ioannes Calvinus Lectori
"nunquam tamen mihi satisfeci, donec in hunc ordinem qui nume proponitur digestum fuit."(yet I never satisfied myself, till it was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it is now published) 한국어 번역에 있어서 “설명된“ 이란 말은 출판된 으로 고쳐야 한다
반응형
'칼빈-기독교강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 강요> 산책-칼빈의 생애와 사상(고 광 필 교수) (0) | 2007.07.17 |
---|---|
<기독교 강요> 산책-서문(고 광 필 교수) (0) | 2007.07.17 |
구약의 족장들도 중보자를 알았는가? -조창훈 정리- (0) | 2007.06.23 |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Sybolum Nicaeno-Constantinopolitanum (0) | 2007.03.14 |
중보자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 (0) | 200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