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평] "한 영혼당 2달러로 결과를 보장한다"
마이클 호튼의 <복음이란 무엇인가> / 현대 복음주의 세일즈 마인드를 비판
김용주(myjay) myjay@hanafos.com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라는 영화가 있었다. 어릴 때부터 할리우드 영화에 미쳐있던 주인공과 그 친구들은 학교 다닐 때부터 미국 영화의 제목과 감독, 주연 배우들 이름은 물론 영화의 스타일이나 기타 세세한 내용까지도 외우고 다닐 정도다. 종국에 그 친구는 시나리오 작가가 되어 시나리오 대상을 수상하는데, 후에 알고 보니 할리우드 영화의 장면 장면을 짜깁기해 놓은 것으로 밝혀지는 내용이다.
패스트푸드처럼 길들여진 미국식 복음
이 영화는 우리에게, 아니 나에게 큰 의미가 있었다. 나는 미국 문화에 너무나 깊게 길들여져 있다는 사실을 그 즈음에야 처음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피자헛'에서 이태리식이 아닌 미국식 피자를 시켜먹고 '스타벅스'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시며, '와퍼'나 '빅맥' 같은 햄버거에 <터미네이터>와 <프렌즈>를 즐기며 보며 자라온 나에게서 한국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회 문화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Praise & Worship'이란 용어는 한국에서 특정한 찬양 집회의 형태를 의미한다. 또 한국에서 일어나는 찬양집회의 스타일은 정확하게 'Hosanna Integrity'나 'Vineyard Church'에서 행하는 스타일과 일치한다. 결국 한국 교회의 찬양집회는 그 스타일 그대로를 한국말로 번역하여 따라한다는 의미다. 소그룹 운동, 극장식 교회, 내적 치유와 같은 용어들은 미국 교회에서부터 발생되어 한국으로 넘어온 개념들이다. 요약하자면, 우리는 좋건 싫건 세속적으로나 신앙적으로 미국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론으로 넘어가자. 마이클 호튼의 저서인 <복음이란 무엇인가>(원제: Putting back into amazing grace)는 책에 쓰인 대로 기독교의 기본 진리, 즉 교리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흥미롭게도 종교개혁 세계로 초대한다. 마이클 호튼은 우리가 기독교 역사를 통해 접한 대로 오직 성경으로,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으로, 만인제사장주의, 종교개혁의 보편성, 실재성, 예배중심성에 대한 주의 환기로 우리를 교리의 중심으로 이끌고 있는 셈이다.
복음은 24시간 편의점처럼
이 책의 흐름은 정확하게 기독교의 기본진리와 일치한다. 도예빌트가 완성한 창조, 타락, 구속의 흐름을 따르면서 예정론과 성육신, 소명과 중생, 칭의, 교회와 성례, 그리고 종말까지 우리가 명쾌히 정리하고 내적 확신을 가져야 하는 중심 교리들을 모두 건드리고 있다.
나는 이 책에서 집중한 교리적인 측면을 서술하기보다는 그간 기독교 현대적 이슈들을 건드렸던, 웨스트민스터의 신학 교수로 하여금 왜 또다시 복음주의적 정통 교리에 집중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고 싶다. 어쩌면 그러한 컨텍스트가 우리에게 더 큰 시사점을 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이클 호튼의 전작인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는 이 책과 함께 읽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미국 사회로부터 신앙의 근본적인 '수혜를 입는' 우리에게 이 책은 시사하는 면이 많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마이클 호튼은 이 책을 통해서 미국 복음주의자들이야말로 미국 사회와 시민 생활과 문화 생활에서 기독교 몰락의 주범이며 기독교적 활력의 침체의 책임은 세속 인본주의자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세속화된 기독교인에게 있다고 서술한다. 그는 역사적으로 볼 때 미국으로 건너간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의 입교인 자격에 회심의 체험을 요구한 지 불과 30년이 지난 1662년에 와서 성찬이 "중생의 여부와 관계없이 품행이 단정한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었다는 점과 당시 기독교가 점점 타협을 통하여 한 사회를 통합 유지시켜주는 '시민종교'가 되고 말았다는 사실에 집중한다.
또한 복음주의자들이 칼빈주의적 정통신앙을 포기할 때, 그들은 가족과 교회와 지역 사회 및 학교와 직장에서 그들에게 성경적 원리대로 행동하며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지적 사고의 체계 또한 함께 버렸으며 홉스의 말을 인용하면서 "교회들은 세속 사회와의 지적 접촉을 회피하였고 신앙이 지적 경험의 총체적 세계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포기해 버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호튼은 제2차 대각성 운동 기간(1775~1825)에 대중적인 부흥 운동을 통하여 신앙의 객관적 내용이 신앙의 실존적 행동으로 대체되어 버렸음을 강하게 비판한다.
"죠지 휫필드와 조나단 에드워즈가 이끌었던 제1차 대각성 운동을 제2차 대각성 운동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초기의 대각성 운동시 신학적, 철학적, 학문적 천재인 조나단 에드워즈가 바로 전도자였다. 그는 사람들을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으로 초대했는데, 다름 아닌 교리에 대한 명료한 선포를 통해 그 일을 수행했다…(이하 중략)…그러나 제2차 대각성 운동시에는 메시지가 하나님에서 인간으로 전환되었다.
첫 번째 대각성 운동에서는 강조점이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하셨는가'에 있었다면 두 번째 대각성 운동에서는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리하여 구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듣는 사람들이 해야만 할 일을 할 수 있게 하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테크닉과 방법의 큰 체계가 등장하게 되었다. 에드워즈나 휫필드에게는 부흥이 성령의 주권적인 역사였다. 그에 반하여 나다나엘 테일러와 찰스 피니에게서 부흥은 "수단을 올바로 사용한 것 그 이상은 아무 것도 아니다." 특히 피니는 '부흥은 기적이 아니며 어떤 의미에서도 기적에 의지하지 않는다. 부흥은 순전히 수단을 올바르게 사용한 철학적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소비자 중심이 최고의 복음?
이러한 신앙의 실용주의적인 잣대가 개입되었던 부분뿐만 아니라 미국 복음주의는 소비자 중심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19세기 말의 복음전도자 드와이트 무디가 세일즈의 접근법을 그의 복음 전도 사업에 이용하게 되었으며, 스스로를 복음 전도자이지만 복음을 전할 때 여전히 세일즈맨이라고 주장했던 점을 지적한다. 즉 그는 단지 파는 상품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나중에 세기가 바뀐 후에 빌리 선데이는 강단을 무대로 바꾸기가 일쑤였으며 자기가 "가장 효과적인 복음 전도자이며 한 영혼당 단 2달러로 결과를 확실히 보장한다"고 자랑하곤 했던 점을 인용하며 현대 복음주의의 세일즈 마인드를 비판한다.
또한 그는 크리스탈 교회의 로버트 슐러 목사가 "신학은 하나님 중심적이지 인간 중심적이 아니라는 전통적 개혁주의 신학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과거에 루터와 칼빈이 신본주의적으로 생각한 것은 적절했다. 하지만 이제는 형세가 정반대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 부분이나 자아 존중이라는 새로운 종교개혁에서 "죄는 하나님의 자녀 한 사람에게서 신적인 존엄성의 권리를 빼앗는 것은 무엇이나 죄"라고 주장했던 점을 지적했고, 이렇게 복음의 본질에서 벗어난 현대 교회의 문제들을 토저의 말을 인용하여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신식 십자가는 죄인을 죽이지 않는다. 그 새 십자가는 죄인에게 더 즐겁고 깨끗한 삶의 길을 보여 줌으로써 죄인의 방향을 고쳐 준다. 주장이 강한 사람들에게 새 십자가는 '자! 어서 주님을 향하여 너희 권리를 주장하라'고 말한다."
미국제 복음주의의 부정적 영향은 한국 교회에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경영자 예수", "자아 회복을 위한 효율적 기독교"라는 문구들이 여전히 즐비하며 인간의 편의를 위해 예배당을 공연장처럼 혹은 수많은 물질을 투자하여 크리스털 교회에 버금가는 교회를 짓고자 애쓰는 교회도 보인다. 인간의 죄는 상처로 대체되었고, 전 지구적 구원은 개인의 내적 치유로 변질되고 있으며 사상의 중심에 서있던 복음주의자들은 도리어 신앙이 지극히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위안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듯한 생각을 품는다.
하나님 중심의 신학은 인간 중심, 인간 편의를 위한 시민종교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이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를 쓴 호튼의 비판이었고, <복음이란 무엇인가>는 진정한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되짚어 보고자 하는 그의 충정 어린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할리우드 키드로 대변되는 우리도 그의 메시지에 진지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은지 자문해 보아야겠다.
2005년 04월 25일 19:02
마이클 호튼의 <복음이란 무엇인가> / 현대 복음주의 세일즈 마인드를 비판
김용주(myjay) myjay@hanafos.com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라는 영화가 있었다. 어릴 때부터 할리우드 영화에 미쳐있던 주인공과 그 친구들은 학교 다닐 때부터 미국 영화의 제목과 감독, 주연 배우들 이름은 물론 영화의 스타일이나 기타 세세한 내용까지도 외우고 다닐 정도다. 종국에 그 친구는 시나리오 작가가 되어 시나리오 대상을 수상하는데, 후에 알고 보니 할리우드 영화의 장면 장면을 짜깁기해 놓은 것으로 밝혀지는 내용이다.
패스트푸드처럼 길들여진 미국식 복음
이 영화는 우리에게, 아니 나에게 큰 의미가 있었다. 나는 미국 문화에 너무나 깊게 길들여져 있다는 사실을 그 즈음에야 처음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피자헛'에서 이태리식이 아닌 미국식 피자를 시켜먹고 '스타벅스'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시며, '와퍼'나 '빅맥' 같은 햄버거에 <터미네이터>와 <프렌즈>를 즐기며 보며 자라온 나에게서 한국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회 문화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Praise & Worship'이란 용어는 한국에서 특정한 찬양 집회의 형태를 의미한다. 또 한국에서 일어나는 찬양집회의 스타일은 정확하게 'Hosanna Integrity'나 'Vineyard Church'에서 행하는 스타일과 일치한다. 결국 한국 교회의 찬양집회는 그 스타일 그대로를 한국말로 번역하여 따라한다는 의미다. 소그룹 운동, 극장식 교회, 내적 치유와 같은 용어들은 미국 교회에서부터 발생되어 한국으로 넘어온 개념들이다. 요약하자면, 우리는 좋건 싫건 세속적으로나 신앙적으로 미국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론으로 넘어가자. 마이클 호튼의 저서인 <복음이란 무엇인가>(원제: Putting back into amazing grace)는 책에 쓰인 대로 기독교의 기본 진리, 즉 교리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흥미롭게도 종교개혁 세계로 초대한다. 마이클 호튼은 우리가 기독교 역사를 통해 접한 대로 오직 성경으로,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으로, 만인제사장주의, 종교개혁의 보편성, 실재성, 예배중심성에 대한 주의 환기로 우리를 교리의 중심으로 이끌고 있는 셈이다.
복음은 24시간 편의점처럼
이 책의 흐름은 정확하게 기독교의 기본진리와 일치한다. 도예빌트가 완성한 창조, 타락, 구속의 흐름을 따르면서 예정론과 성육신, 소명과 중생, 칭의, 교회와 성례, 그리고 종말까지 우리가 명쾌히 정리하고 내적 확신을 가져야 하는 중심 교리들을 모두 건드리고 있다.
나는 이 책에서 집중한 교리적인 측면을 서술하기보다는 그간 기독교 현대적 이슈들을 건드렸던, 웨스트민스터의 신학 교수로 하여금 왜 또다시 복음주의적 정통 교리에 집중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고 싶다. 어쩌면 그러한 컨텍스트가 우리에게 더 큰 시사점을 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마이클 호튼의 전작인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는 이 책과 함께 읽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미국 사회로부터 신앙의 근본적인 '수혜를 입는' 우리에게 이 책은 시사하는 면이 많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마이클 호튼은 이 책을 통해서 미국 복음주의자들이야말로 미국 사회와 시민 생활과 문화 생활에서 기독교 몰락의 주범이며 기독교적 활력의 침체의 책임은 세속 인본주의자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세속화된 기독교인에게 있다고 서술한다. 그는 역사적으로 볼 때 미국으로 건너간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의 입교인 자격에 회심의 체험을 요구한 지 불과 30년이 지난 1662년에 와서 성찬이 "중생의 여부와 관계없이 품행이 단정한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었다는 점과 당시 기독교가 점점 타협을 통하여 한 사회를 통합 유지시켜주는 '시민종교'가 되고 말았다는 사실에 집중한다.
또한 복음주의자들이 칼빈주의적 정통신앙을 포기할 때, 그들은 가족과 교회와 지역 사회 및 학교와 직장에서 그들에게 성경적 원리대로 행동하며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지적 사고의 체계 또한 함께 버렸으며 홉스의 말을 인용하면서 "교회들은 세속 사회와의 지적 접촉을 회피하였고 신앙이 지적 경험의 총체적 세계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을 포기해 버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호튼은 제2차 대각성 운동 기간(1775~1825)에 대중적인 부흥 운동을 통하여 신앙의 객관적 내용이 신앙의 실존적 행동으로 대체되어 버렸음을 강하게 비판한다.
"죠지 휫필드와 조나단 에드워즈가 이끌었던 제1차 대각성 운동을 제2차 대각성 운동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초기의 대각성 운동시 신학적, 철학적, 학문적 천재인 조나단 에드워즈가 바로 전도자였다. 그는 사람들을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으로 초대했는데, 다름 아닌 교리에 대한 명료한 선포를 통해 그 일을 수행했다…(이하 중략)…그러나 제2차 대각성 운동시에는 메시지가 하나님에서 인간으로 전환되었다.
첫 번째 대각성 운동에서는 강조점이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하셨는가'에 있었다면 두 번째 대각성 운동에서는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리하여 구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듣는 사람들이 해야만 할 일을 할 수 있게 하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테크닉과 방법의 큰 체계가 등장하게 되었다. 에드워즈나 휫필드에게는 부흥이 성령의 주권적인 역사였다. 그에 반하여 나다나엘 테일러와 찰스 피니에게서 부흥은 "수단을 올바로 사용한 것 그 이상은 아무 것도 아니다." 특히 피니는 '부흥은 기적이 아니며 어떤 의미에서도 기적에 의지하지 않는다. 부흥은 순전히 수단을 올바르게 사용한 철학적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소비자 중심이 최고의 복음?
이러한 신앙의 실용주의적인 잣대가 개입되었던 부분뿐만 아니라 미국 복음주의는 소비자 중심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19세기 말의 복음전도자 드와이트 무디가 세일즈의 접근법을 그의 복음 전도 사업에 이용하게 되었으며, 스스로를 복음 전도자이지만 복음을 전할 때 여전히 세일즈맨이라고 주장했던 점을 지적한다. 즉 그는 단지 파는 상품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나중에 세기가 바뀐 후에 빌리 선데이는 강단을 무대로 바꾸기가 일쑤였으며 자기가 "가장 효과적인 복음 전도자이며 한 영혼당 단 2달러로 결과를 확실히 보장한다"고 자랑하곤 했던 점을 인용하며 현대 복음주의의 세일즈 마인드를 비판한다.
또한 그는 크리스탈 교회의 로버트 슐러 목사가 "신학은 하나님 중심적이지 인간 중심적이 아니라는 전통적 개혁주의 신학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과거에 루터와 칼빈이 신본주의적으로 생각한 것은 적절했다. 하지만 이제는 형세가 정반대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 부분이나 자아 존중이라는 새로운 종교개혁에서 "죄는 하나님의 자녀 한 사람에게서 신적인 존엄성의 권리를 빼앗는 것은 무엇이나 죄"라고 주장했던 점을 지적했고, 이렇게 복음의 본질에서 벗어난 현대 교회의 문제들을 토저의 말을 인용하여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신식 십자가는 죄인을 죽이지 않는다. 그 새 십자가는 죄인에게 더 즐겁고 깨끗한 삶의 길을 보여 줌으로써 죄인의 방향을 고쳐 준다. 주장이 강한 사람들에게 새 십자가는 '자! 어서 주님을 향하여 너희 권리를 주장하라'고 말한다."
미국제 복음주의의 부정적 영향은 한국 교회에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경영자 예수", "자아 회복을 위한 효율적 기독교"라는 문구들이 여전히 즐비하며 인간의 편의를 위해 예배당을 공연장처럼 혹은 수많은 물질을 투자하여 크리스털 교회에 버금가는 교회를 짓고자 애쓰는 교회도 보인다. 인간의 죄는 상처로 대체되었고, 전 지구적 구원은 개인의 내적 치유로 변질되고 있으며 사상의 중심에 서있던 복음주의자들은 도리어 신앙이 지극히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위안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듯한 생각을 품는다.
하나님 중심의 신학은 인간 중심, 인간 편의를 위한 시민종교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이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를 쓴 호튼의 비판이었고, <복음이란 무엇인가>는 진정한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되짚어 보고자 하는 그의 충정 어린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할리우드 키드로 대변되는 우리도 그의 메시지에 진지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은지 자문해 보아야겠다.
2005년 04월 25일 19:02
반응형
'주님의 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의교회 주보 2008-44 (0) | 2008.11.01 |
---|---|
3월 세째주 일정을 예상하면서.... (0) | 2008.03.15 |
주님의교회...... (0) | 2007.05.19 |
05-04일... 야간 작업까지.... (0) | 2007.05.04 |
유영희 권사님 댁.... 팔영초?? (0) | 2007.05.04 |